발자국통신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발자국통신

‘발자국통신은’인권연대 운영위원들로 구성된 칼럼 공간입니다.

‘발자국통신’에는 강국진(서울신문 기자), 김희교(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염운옥(경희대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아연(당진시대 기자), 장경욱(변호사), 정범구(전 주독일 대사), 최낙영(도서출판 밭 주간)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다시 길을 떠난 스님 (이찬수 위원)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7-13 18:04
조회
210

이찬수/ 인권연대 운영위원



삼년 이상 두문불출하며 군위에 있는 시골 선방에서 용맹 정진하던 문수스님이 ‘사대강 사업을 철회하고 서민 정책을 펼치라’는 글을 남기고는 소신공양했다. 제 몸을 태워 부처 앞에 바치는 일을 소신공양이라 한다. 부처 앞에 바친다지만, 제 몸을 태울 정도의 행위는 실상 부처에 가까운 행위이다. 제 몸 하나 보전하느라 끙끙대는 것이 중생의 삶인데, 그 생물학적 본성마저, 그것도 개인적 이유가 아닌, 뭇 생명과 가난한 이웃을 위해 훌쩍 뛰어넘었으니, 필경 부처의 행위가 아닐 수 없다. 그런들 어쩌랴. 스님이라는 ‘계란’ 하나가 터져나가도 끄떡없을 ‘바위’ 같은 현실을 생각하면 암울할 뿐이다.

문수스님의 소신공양에 충격을 받고 이번엔 불교환경연대 대표이자 화계사 주지이신 수경스님이 주지, 승적 등 모든 ‘사회적’ 신분을 내어놓고 잠적하는 일이 벌어졌다. 환경운동의 상징적 존재나 다름없는 수경스님은 나도 좀 면식이 있던 분이라서인지 맘이 더 애잔했다. 이런 저런 인연으로 스님께 말씀듣기를 청할 때마다 무언가 남다른 존재인 냥 받들어지는 상황을 버거워하셨다. 자격도 없는데 승복을 입었다는 이유로 대접을 받으니 부담스럽다는 말씀을 여러 번 하셨다. 언젠가 이것저것 죄다 내려놓아야겠다며, 환계(還戒)의 가능성을 몇 차례 비추곤 하셨다. 보잘 것 없는 사람들 앞에서 그런 진솔한 고백을 할 줄 하는 스님의 겸손하고 솔직한 인품을 느낄 수 있었다. 참 괜찮은 분이라는 생각을 여러 차례 했었다.

그러던 분이 “다시 길을 떠나며”라는 편지 한 장을 가까운 이들에게 남겨 놓고 시야에서 사라졌다. 평소의 인간적이고 종교적인 소신을 일단 실천으로 옮긴 셈이다. 이미 언론에 보도되었지만, 스님의 편지를 한 번 더 인용해본다.
“‘대접받는 중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 초심 학인 시절, 어른 스님으로부터 늘 듣던 소리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제가 그런 중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칠십, 팔십 노인 분들로부터 절을 받습니다. 저로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일입니다. 더 이상은 자신이 없습니다. 환경운동이나 NGO단체에 관여하면서 모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한 시절을 보냈습니다. 비록 정치권력과 대척점에 서긴 했습니다만, 그것도 하나의 권력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슨 대단한 일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에 빠졌습니다. 원력이라고 말하기에는 제 양심이 허락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을 보면서 제 자신의 문제가 더욱 명료해졌습니다. ‘한 생각’에 몸을 던져 생멸을 아우르는 모습에서, 지금의 제 모습을 분명히 보았습니다. 저는 죽음이 두렵습니다. 제 자신의 생사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제가 지금 이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이대로 살면 제 인생이 너무 불쌍할 것 같습니다. 대접받는 중노릇 하면서, 스스로를 속이는 위선적인 삶을 이어갈 자신이 없습니다. 모든 걸 내려놓고 떠납니다. 조계종 승적도 내려놓습니다. 제게 돌아올 비난과 비판, 실망, 원망 모두를 약으로 삼겠습니다. 번다했습니다. 이제 저는 다시 길을 떠납니다. 어느 따뜻한 겨울, 바위 옆에서 졸다 죽고 싶습니다.”

2010년 6월 14일 수경

스님의 번민이야 그분대로 있었을 테니, 정말 무엇 때문에 그리도 ‘번다하셨는지’ 외부자로서는 다 알 길이 없다. 그래도 나의 짧은 경험과 그분의 인격에 비추건대 이해가 안 될 것도, 공감이 안 될 것도 없었다. 다만, 번다했던 그대로, 번민을 적당히 숨기고 살던 대로 살지 않고, 결국 모든 것을 내려놓는 모습에서 나 같은 이와는 다른 수준이 읽혔다. “아버지, 이 잔을 나에게서 거두어 주소서. 그러나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소서”(마르코복음 14,36)라고 기도했던 예수가 생각나기도 했다.

IE001205032_STD.jpg
수경 스님이 지난 6월 5일 저녁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문수 스님 소신공양 국민추모제'에서 호소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오마이뉴스


특히 마지막 말이 내 마음에 남았다: “이제 저는 다시 길을 떠납니다. 어느 따뜻한 겨울, 바위 옆에서 졸다 죽고 싶습니다.” 보기에 따라, 집착 없이 자연스런 삶 그대로, 그냥 있는 그대로 살겠다는 다짐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다소 섬뜩한 상상을 하노라면 자살의 가능성마저 담긴 말임 직도 하고, 하필 ‘바위’ 옆에서 죽고 싶다는 말을 듣노라면, 바위에서 투신한 노무현 대통령을 떠올리게도 한다. 그러면서도 ‘죽겠다’는 선언이 아니라 죽고 ‘싶다’는 고백은 여전히 삶에 대한 집착을 떠나보내지 못한 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같다. 그러면서도 선승의 세계관을 물씬 담은 고백이기도 할뿐 더러, “대접받는 중노릇은 하지 않으리라”는 일관된 고민은 스님이야말로 제대로 된 수행자라는 증거이기도 하다.

수경스님은 물론이거니와 문수스님도 수행자로서의 첫 길에 들어섰다가, 한 번 더 길을 떠난 분들이다. 한분은 죽음으로 생멸의 길을 떠났고, 다른 분은 모든 신분과 권력을 내려놓고 홀연히 사라지면서 생멸의 길을 떠났다. 그렇게 한 분은 무여열반(사후 열반)에의 길에 들어섰고, 다른 분은 유여열반(번뇌는 끊었으나 몸은 남아있는 열반)에의 길에 들어섰다. 종교 공부하면서 느끼던 바이지만, 사람이 제대로 되려면 두 번은 거듭나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두 분 스님이 시대적 고민 속에서 두 번은 거듭나는 모습을 참으로 실감나게 보여주신 듯하다. 나도 물론이거니와, 이 땅의 수천만 종교인들은 과연 두 번 거듭날 수 있을까. 아니 한 번이라도 길을 제대로 떠나볼 수 있을까.

이찬수 위원은 현재 종교문화연구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