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인권학교

  <강사소개> 김녕(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서강대학교와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공부하였고 정치학박사 학위 취득 후 1997년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권교육, 시민교육, 평생교육, 가톨릭 사회참여 관련 과목 등을 가르치고 있다. 아울러, 학술활동과 함께, 인권연대, 사회정의시민행동, 한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정치와 교회-국가 갈등』, 『인권생각』 등이 있다.   서민(단국대학교 의대 교수) 교수. 기생충을 연구한다. 최근 자신의 전공인 기생충들을 페미니즘 시각으로 분석한 끝에 “기생충도 남녀 사이가 좋으면 생존하고, 쇼윈도 부부 기생충은 멸종했다”고 주장한다. 저서로 『서민의 기생충 열전』, 『집 나간 책』, 『서민적 글쓰기』, 『서민의 기생충 콘서트』, 『B급 정치』, 『서민적 정치』, 『여혐, 여자가 뭘 어쨌다고』, 『서민 독서』, 『기생충이라고 오해하지 말고 차별하지 말고』 등이 있다.   오인영(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교수) 19세기 자유주의 연구로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고려대학교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열 차례 이상 수상했으며, 논문으로는 「자유주의의 진화과정에서 본 신자유주의」, 「어느 역사학자의 자기반성」 등이 있고, 저서는 『나 우리 반항』(공저), 『인문학이 인권에 답하다』(공저) 등이 있다.   오창익(인권연대 사무국장)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 현안에 대해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광운대 외래교수이며,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 『간신』(공저),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 학교』(공저), 『인문학이 인권에 답하다』(공저), 『검찰공화국 대한민국』(공저),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공저) 등이 있다.   하종강(성공회대학교 노동아카데미 교수) 한겨레신문 객원논설위원, 한울노동문제연구소장, 성공회대학교 노동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이다. 1994년 ‘항상 떨리는 처음입니다’로 제6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았고, 저서로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철들지 않는다는 것』,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울지 말고 당당하게』,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등이 있다.     <수강신청 양식 작성 바로가기> https://goo.gl/forms/ukJ0jJr5qYW5N34t2  
2018-06-12 | hrights | 조회: 1856 | 추천: 2
  고병권 철학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비판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자와 하녀>, <생각한다는 것>,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살아가겠다”>, <다이너마이트 니체>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한 권으로 읽는 니체> 등이 있다.  이만열 서울대 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고, 합동신학교에서 공부(신학사)했다. 숙명여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복음과상황〉공동발행인을 역임했고 현재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희년선교회 대표, 김교신선생기념사업회 회장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역사학의 흐름>, <단재 신채호의 역사학 연구>,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우리 역사 오천 년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기독교 의료사> <역사의 중심은 나다 >등이 있다. 후지이 다케시(藤井たけし) 일본 교토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오사카대 일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 사학과 BK연구교수이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이다. 지은 책으로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 1950년대, 반공ㆍ동원ㆍ감시의 시대(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번역과 주체>, <다미가요 제창>이 있다. 한채윤  1997년에 성적소수자 인권운동에 뛰어들어, 1998년에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지 〈BUDDY〉를 창간했고 2001년부터 퀴어문화축제(kqcf.org) 기획에 참여했으며 2002년에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org)를 조직해 지금까지 퀴어문화운동과 성적소수자 인권운동의 영역에서 20년째 활동 중이다. 저서로 『한채윤의 섹스 말하기』가 있고, 『성의 정치 성의 권리』 등 다수의 편/공저가 있다. 최근에는 한국 개신교와 정치의 유착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문영  서울대 노어노문학과에서 석사를, 모스크바국립대에서 대화주의 사상가 M. 바흐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로 재직중이며, 러시아 및 탈사회주의권 문화연구, 탈경계 연구, 평화인문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톨스토이와 평화>, <현대 러시아 사회와 대중문화> 등이 있고, 공저로 <평화인문학이란 무엇인가>, <폭력이란 무엇인가: 기원과 구조> 등이 있다. 정태인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국민경제 비서관과 대통령 직속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기조실장을 지냈다.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사단법인 정치바로 연구소의 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연구소장에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리얼 진보(공저)>, <불량 사회와 그 적들>, <정태인의 협동의 경제학>, <입에 풀칠도 못하게 하는 이들에게 고함>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광운대 외래교수이며,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이 있으며 공저로는 <검찰공화국, 대한민국>,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학교>, <인문학이 인권에 답하다>, <간신> 등이 있다.
2017-08-09 | hrights | 조회: 1392 | 추천: 0
<강사 소개>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성공회대 겸임교수, 광운대 외래교수.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검찰공화국, 대한민국>, <사람답게 산다는 것>이 있다. 채운  서울대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고고미술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미술’ 개념의 탄생과 근대적 미술인식」을 비롯한 근대미술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현재 ‘고전비평공간 규문’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언어의 달인, 호모 로퀜스>, <예술의 달인, 호모 아르텍스>, <언어의 달인 호모 로스>, <근대와 만난 예술과 도시(공저)> 등이 있다. 이희수  한국인 최초로 국립이스탄불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문화인류학자이자 이슬람문화 최고 권위자. 이스탄불 마르마르대 조교수, 이슬람 역사·문화·예술연구소와 튀니지대 사회경제연구소 연구원을 거쳤고, 한국중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박물관장, 한국-터키친선협회 사무총장으로 재직 중이다. <이희수 교수의 이슬람>, <이슬람과 한국문화>, <톡톡 이슬람>, <이슬람 문화>, <터키사>, <어린이 이슬람 바로 알기>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다. 후지이 다케시(藤井たけし)  일본 교토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오사카대 일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 사학과 BK연구교수이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이다. 지은 책으로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 1950년대, 반공ㆍ동원ㆍ감시의 시대(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번역과 주체>, <다미가요 제창>이 있다. 이용마  1996년 MBC기자로 입사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 등 많은 부서를 거치며 다양한 취재를 했다. 정치권력과 경제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끈을 놓지 않은 덕에 삼성이 가장 주시하는 기자 중 한 명이 되었다. 2012년 MBC 사상 유례없는 170일간의 언론 파업을 주도했다가 해직되었다.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대와 건국대, 숭실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하종강  한겨레신문 객원논설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울노동문제연구소 소장과 성공회대 노동대학장을 맡고 있다. 1994년 ‘항상 떨리는 처음입니다’로 제6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았고 저서로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길에서 만난 사람들>,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공저)> 등이 있다. 서해성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한신대 외래교수로 활동 중이다. 시민방송, 기적의 도서관, 북스타트, 아시아스타트를 기획했고, ‘고구려!’, ‘광복 60주년 사진전’ 등의 전시를 연출했다. ‘CBS 서해성의 인물한국사’, ‘서해성의 기억 속으로’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다큐 시대와의 인터뷰’ 등을 연출했다.
2017-08-09 | hrights | 조회: 1226 | 추천: 1
<강사 소개>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전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말과활'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공저)>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조효제  인권, 평화, NGO 연구로 잘 알려진 성공회대학교에서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로 있으면서 같은 대학 아시아 NGO정보센터의 소장을 겸하고 있다. 저서로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 <인권을 찾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직접행동>, <세계인권사상사>, <전지구적 변환>, <머튼의 평화론> 등이 있다. 고병헌  영국 Glasgow University(박사과정)와 런던 대학교 Institution of Education(특별과정)에서 수학하고, 고려대 교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평화, 평화교육의 종교적 이해>, <대안학교의 모델과 실천>, <참자유인을 기르는 학교>등을 책임 편집하였으며, 역서로 <평화교육의 이론과 실천> 등이 있다. 하종강  한겨레신문 객원논설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성공회대 노동대학장을 맡고 있다. 1994년 ‘항상 떨리는 처음입니다’로 제6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았고 저서로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길에서 만난 사람들>,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공저)>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성공회대 겸임교수, 광운대 외래교수.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이 있다. 김종배  서강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수학하고, <미디어 오늘>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1999년 MBC라디오 <아침을 달린다(뉴스 브리핑)> 출연, 2007년에는 MBC라디오 <김종배의 뉴스터치>를 진행하였으며 2012년 현재, 팟캐스트 <이슈털어주는남자>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30대 정치학>과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가 있다.
2017-08-09 | hrights | 조회: 1095 | 추천: 0
<강사 소개> 박한용 고려대학교에서 근현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민족문제연구소 교육홍보실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운영위원, 노숙인을 위한 성프란시스대학 인문학 강좌 교수(역사)로 재직중이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전대표를 역임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공저)>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하종강  한겨레신문 객원논설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성공회대 노동대학장을 맡고 있다. 1994년 ‘항상 떨리는 처음입니다’로 제6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았고 저서로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길에서 만난 사람들>,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공저)> 등이 있다. 서해성  시인이자 소설가, 한신대 외래교수로 활동 중이다. 시민방송, 기적의 도서관, 북스타트, 아시아스타트를 기획했고, ‘고구려!’, ‘광복 60주년 사진전’ 등의 전시를 연출했다. ‘CBS 서해성의 인물한국사’, ‘서해성의 기억 속으로’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다큐 시대와의 인터뷰’ 등을 연출했다. 이이화  오랜 세월 한국사를 연구해 온 역사학자로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역사비평> 편집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고구려역사문화보전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실천적 역사운동에 앞장섰다. 저서로 <한국사 이야기>를 비롯해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 <조선후기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한국의 파벌>, <허균>, <우리 겨레의 전통생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리니> 등이 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15년 전 동성애자인권연대를 창립하여 소수자 인권운동을 했다. 병역거부로 1년 4개월 감옥살이를 했고, 수감되어 있는 동안 국제 앰네스티가 양심수로 지정하였다. 논문으로는 <군 인권실태조사 연구보고서>가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성공회대 겸임교수, 광운대 외래교수.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이 있다.
2017-08-09 | hrights | 조회: 1251 | 추천: 0
<강사 소개> 홍성수 런던정경대학(LSE) 박사과정에서 인권법과 법사회학을 공부하고 현재는 숙명여대 법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법사회학: M. Weber, J. Habermas, N. Luhmann의 사회학이론과 법패러다임’(공저), ‘MT 법학: 나의 미래 공부 시리즈’(공저) 등이 있다. 김종철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세계를 황폐화하는 근대의 도시·산업 문명에 대해 숙소하며 우정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영문학과에서 수학한 후 영남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시와 인간과 역사적 상상력>,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간대의 물레>,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녹색평론 서문집>,<땅의 옹호-김종철 평론집> 등이 있다. 조효제 인권, 평화, NGO 연구로 잘 알려진 성공회대학교에서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로 있으면서 같은 대학 아시아 NGO정보센터의 소장을 겸하고 있다. 저서로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 <인권을 찾아서>등이 있고, 역서로 <직접행동>, <세계인권사상사>, <전지구적 변환>, <머튼의 평화론> 등이 있다. 오인영 단국대학교, 충남교육연구원 등에서 강의를 했고 현재는 고려대학교에서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과거의 힘 ; 역사인식, 기억과 상상력>,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 애국주의 한계 논쟁> 등이 있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전대표를 역임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공저)>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하종강 한겨레신문 객원논설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성공회대 노동대학장을 맡고 있다. 1994년 ‘항상 떨리는 처음입니다’로 제6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았고 저서로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길에서 만난 사람들>, <아직 희망을 버릴 때가 아니다>,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공저)>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성공회대 겸임교수, 광운대 외래교수. 저서로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이 있다.
2017-08-09 | hrights | 조회: 1120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