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acebook
Twitter
Instagram
hrights
인권연대
인권연대 소개
인권연대란?
인권연대가 하는 일
인권연대 사람들
인권연대 연혁
활동소식
공지사항
주간 활동보고
웹진 사람소리
월간 인권연대
인권연대 활동소식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인권연대 세상읽기
발자국 통신
수요산책
목에가시
우리시대
오창익의 인권이야기
교육센터
교육센터 소개
교육신청
연혁
기획강좌
수요대화모임
교사직무연수
인권학교
청년인권학교
청소년 인권학교
자료실
정책자료실
인권교육 자료실
사진자료실
일반자료실
서적자료실
인권연대 발간도서
인권-책위원회
교육/강의 신청
후원안내
후원하기
회원정보변경
인권연대 소개
인권연대란?
인권연대가 하는 일
인권연대 사람들
인권연대 연혁
활동소식
공지사항
주간 활동보고
웹진 사람소리
월간 인권연대
인권연대 활동소식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인권연대 세상읽기
발자국 통신
수요산책
목에가시
우리시대
오창익의 인권이야기
교육센터
교육센터 소개
교육신청
연혁
기획강좌
수요대화모임
교사직무연수
인권학교
청년인권학교
청소년 인권학교
자료실
정책자료실
인권교육 자료실
사진자료실
일반자료실
서적자료실
인권연대 발간도서
인권-책위원회
교육/강의 신청
후원안내
후원하기
회원정보변경
You are here:
Home
인권교육 자료실
교육센터
교육센터 소개
연혁
인권학교
수요대화모임
기획강좌
교사직무연수
청년인권학교
청소년인권학교
교육신청
인권교육 자료실
인권교육자료실
인권연대 인권교육 요청서
2017.05.23
첨부되어 있는 인권교육 요청서 파일을 작성하여 이메일(rights1999@naver.com)이나 팩스(02-3672-0438)로 보내주시면 교육담당자가 확인 후 회신해 드립니다.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은 02-749-9004로 전화주시면 됩니다. - 인권연대 사무국
인권연대_인권교육요청서.hwp
청소년 동성애자 인권을 위한 교사지침
2017.05.23
청소년 동성애자 인권을 위한 교사 지침 - 펴낸날: 2005년 11월 25일 - 펴낸곳: 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 기획/구성: 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청소년사업팀 - 집필 김민정: 제7회 청소년 동성애자 인권학교 기획위원, 서울대학교 이반모임 QIS 회원 여기동: 정신과 간호사, 동성애자인권연대 회원, 민주노동당 성소수자위원회 회원 정연희: 한세전산고등학교 교사, YMCA 성교육교사회 회원, 고려대학교 사회교육원 성행동의 심리학 강사 송윤옥: 청소년 상담가,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자문위원 - 목 차 - 1. 청소년 동성애자 인권을 위한 교사지침서를 발간하며 2. 동성애 바로알기 3. 청소년과 동성애 4. 학교에서 동성애에 대해 언급하기 전에 5. 청소년 동성애자 인권을 위한 교사지침 6. 청소년 동성애자 상담지침 <부록> 참고 인터넷 사이트 <부록> 참고도서 * 본 서적은 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청소년 동성애자 차별 방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만들어 낸 교사지침서입니다. 구독신청은 http://chingusai.net/ 이나 02)745-7942 로 하시면 됩니다.
성적소수자에 대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매뉴얼 발간 프로젝트
2017.05.23
2005 성적소수자에 대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매뉴얼 발간 프로젝트 - 발행일: 2005년 11월 23일 - 발행인: 박상희 - 편 집: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출판팀 - 목 차 - 책을 펴내며 : 왜 성적소수자에 대한 인권교육이 필요한가 1부 프로그램과 참고자료 1장 머리열기 가슴열기 2장 놀이로 응용하기 3장 교육자를 위한 읽을거리 2부 인권교육 시범수업 사례 및 분석 1장 문경여자중학교 성교육 수업 2장 양서중학교 국어 수업 3장 K고등학교 성교육 수업 3부 외국 인권교육 프로그램 소개 1장 안전한 학교 만들기 2장 왜 성소수자에 반대하는 것이 모두에게 해로운 일인가 3장 동성애자의 권리는 특별한가 4장 교육자가 할 수 있는 10가지 부록 1. 성적소수자 인권교육 프로그램과 매뉴얼 개발을 위한 사전 설문조사 분석 2. 성적소수자 관련 도서, 웹사이트, 도서, 영상자료, 단체목록 * 본 매뉴얼북에 소개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한글 파일과 파워포인트자료는 http://kscrc.org/hre 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권교육의 실태와 제도화 방안
2017.05.23
열린우리당 인권특별위원회 심포지움 - 인권교육의 실태와 제도화 방안 ◇ 일시: 2005년 7월 13일 (수) 오후 2시 ◇ 장소: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11층) ◇ 주최: 열린우리당 인권특별위원회 ◇ 주관: 국회의원 이원영 - 자료집 목차 - ◇ 발제 1. 학교 인권교육의 강화 방안 - 조난심 박사/교육과정평가원 2. 인권교육 법제화의 필요성과 현실화 방안 모색을 위한 논의 - 고병헌 교수/성공되대학교 ◇ 토론 ▷ 인권교육법 제정의 필요성과 제정방향 - 정성호 의원/법제사법위원회 ▷ 학생 인권보호를 위한 교육부의 노력 - 박교선 연구사/교육인적자원부 ▷ 법제화 자체보다 법제화로 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 배경내 상임활동가/인권운동사랑방 ▷ "인권교육의 실태와 제도화 방안" 에 대하여 - 강명숙 사무관/국가인권위원회 ▷ 인권교육의 문제점과 법제화에 대한 제언 - 김칠준 변호사/다산인권센터
빈곤분야 인권활동가 교육 자료집
2017.05.23
빈곤분야 인권활동가 교육 - "소외계층인인권보호 우리가 함께해요" ◇ 일시: 2005.7.13(수)~7.14(목) ◇ 장소: 원불교 봉도 청소년수련원 ◇ 주최: 국가인권위원회 ◇ 주관: 한국빈곤문제연구소 (부설)전국빈민상담네트워크본부 - 자료집 목차 - [제1강] 인권일반에 대한 이해 - 오창익/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 [제2강]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류정순/한국빈곤문제연구소장 [제3강] 수급자 선정기준 및 조사 - 최영민/한국빈곤문제연구소 간사 [제4강] 기초생활보장법 상담사례 및 상담기법 - 류미령/한국빈곤문제연구소 상담, 교육실장 [제5강] 기초생활보장제도 이외의 공공부조제도 - 김희성/한국빈곤문제연구소 간사 [부록1] 알기 쉬운 2005년 기초생활보장제도 -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부록2] 희귀난치성질환자 목록(98개 질환) [부록3] 의의신청서 견본 [부록4] 저소득 주민 기초생활보장 보호의뢰서 [부록5] 관련 홈페이지
학생인권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국회인권정책연구회, 2003.10.24)
2017.05.23
국회인권정책연구회의 요청으로 인권실천시민연대가 협조했던 학생인권 실태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 각 국의 인권교육 현황, 학생인권과 관련된 제분야의 설문조사 결과와 분석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목록 제1장 머리말 제2장 인권의 개념과 이동/청소년 인권론 제3장 아동/청소년의 인권 제4장 학교에서의 학생인권 제5장 각 국의 인권교육 현황 제6장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 제7장 결론 및 제언 <부록> 1. 학교 인권교육 실태조사 조사결과 분석 결과 2. 학생 인권의식 실태조사 조사결과 분석 결과 3. 교사 인권의식 실태조사 조사결과 분석 결과
인권교육 실태와 발전방향:국가인권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모색
2017.05.23
저자명:이대훈, 허상수, 고병헌, 한홍구 분야:인권교육 발행처:국가인권위 발행년도:2003.11.5 목차: 주제발표- 국가인권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인권교육의 정의와 정책방향 정부기관 인권교육 실태와 과제 인권시민사회단테 인권교육 실태와 과제 초,중등 정규학교의 인권교육 실태와 과제 국가인권교육계획의 세계적 맥락과 외국의 실태 부록- 공공기관 인권교육 실태조사 설문지 인권시민사회단체 인권교육 실태조사 설문지 학교 인권교육 실태조사 질문지 학교 인권교육 실태조사 분석표 참고자료- 유엔 인권교육 10개년계획 요약 국가인권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유엔 가이드 유엔 인권교육 10개년계획 사후조치 연구(E/CN.4/2003/101
어린이 인권 설문 - 전교조 2000/05/10
2017.05.23
전교조가 어린이날을 맞아 전국의 초등학생 1000명을 대상을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와 분석입니다. 어린이들 중에서 '인권'이란 말을 들어보았다는 응답자가 56%에 불과하고, 이중에 학교에서 들어봤다는 응답자는 9.1%에 불과한현실입니다. 무엇보다 소중한 인권에 대해 전혀 가르치지 않는 학교, 그렇지만 인권대통령이 있고, 인권선진국을 지향하는 나라, 우리나라 좋은 나라를 여실히 느끼실 수 있는 구체적인 설문입니다.
BD0504-4.hwp
1
모두
제목
내용
작성자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