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통신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발자국통신

‘발자국통신은’인권연대 운영위원들로 구성된 칼럼 공간입니다.

‘발자국통신’에는 강국진(서울신문 기자), 김희교(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염운옥(경희대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아연(당진시대 기자), 장경욱(변호사), 정범구(전 주독일 대사), 최낙영(도서출판 밭 주간)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더불어 사는 학교 (김영미)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6-09 11:36
조회
373
한달 전 수원의 한 중학교에서 3학년 남학생이 보건실에서 쉬지 못하게 한다는 이유로 보건교사를 경찰에 신고한 사실이 뉴스에 알려졌다. 학생은 그날 6교시에 보건실로 찾아와 “머리가 아파 침대에 누워 있겠다”고 말했고 이에 보건교사는 “수업에 불참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와 학과 담당교사의 사인을 받아와야 한다”고 했다 이에 학생은 욕설과 함께 출입문을 주먹으로 치고 112로 전화를 걸어 “몸이 아파서 쉬고 싶은데 보건교사가 내말을 안 믿어준다고 경찰에 신고까지 했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현재 학교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상황이다.
서구식 평등개념과 자유개념으로 자신의 표현에 적극적인 학생들이 공동체 생활에서 스스로 지키는 규율과 의무는 무시한 채, 뜻대로 하고 싶은 일이 좌절되면 매사에 비협조적이고, 어른(교사)에게 대들고, 자기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매번 남 탓으로 돌리는 학생들의 모습들이 그것이다.

 

 

061205web01.jpg

한 학교의 수업 모습
사진 출처 - 오마이뉴스




 수업시간에 옆의 친구와 너무 심하게 이야기를 하고, 장난을 쳐서 교실 뒤에서 벌을 서게 하면 오히려 뒤에서 왔다 갔다 장난을 치곤하여 수업이 중지되기도 하고, 교실 밖 복도에서 벌을 주면 이들은 열려있는 교실 창문으로 교실안의 학생과 말을 주고받고, 눈장난을 하는 등 오히려 처벌을 받는 동안 다른 학생들의 수업을 방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수업하던 교사가 훈계를 하면 “장난 안했는데요?” 하며 눈을 흘기며 쳐다보곤 한다. 심지어 수업 중 제자리에 가만 앉아 있지 못하고 복도를 배회하는 아이들조차 있다. 이 때문에 교사들은 “수업을 진행하기가 너무 힘들다”고 토로한다.

선생님이 꾸중을 하면 눈을 똑바로 뜨고 덤비기도 하고 책가방을 챙겨 집으로 가 버리는 학생들이 있는가 하면, 친구들 간에 일어나는 사소한 일에 대해서도 화를 잘 내고 이해하거나 참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복종의 시대를 살아왔던 교사들은 당황하고 고통스럽다. 억압과 통제가 심했던 시대에서 복종이 미덕임을 강요받았던 교사 세대의 입장에서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학생 세대 간의 차이도 심각하고 이러한 차이 때문에 학생들과 마찰은 당연해질 수 밖에 없다.
사람들은 잘못한 일을 하다가 들키면 부끄러워하거나 미안해하는 것이 정상인데 말이다. 선생님에게 눈을 부릅뜨고 교사에게 반항심을 숨기지 않는 아이들!

나에게 손해만 되지 않는다면, 아니 내게 이익이 된다면 무슨 짓이라도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모습들이 참으로 안타깝다. 학생들이 잘못되는 것은 개인의 잘못만이 아니라 가정교육의 실종, 성적지상주의와 사회적 존재로 키우지 못하는 학교교육, 일류대학을 가기 위한 입시위주의 교육, 그리고 상업주의 속의 사화문화적인 환경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최근에 신문의 기사에 따르면 뚜렷하게 반항적이고, 불복종적이고, 도발적인 행동과 함께 규칙을 어기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반항장애 학생이 10%전후로 나타난다고 했다.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이러한 질병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유병률이 차이가 심하다고 한다.

 

 

061205web02.jpg

지난 4월 서울시 소아청소년 정신보건센터에서 서울시내 초-중-고교 19개 학교의 학부모, 학생 2천700여 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중-고생의 3분의 1 이상이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교육이란 ‘사람을 사람답게 키우는 일’이다.

우리는 성적이 아니라 먼저 우리의 학생들에게 인성을 가르치고 사람다움을 가르쳐야 하겠다. 그리고 교육은 비단 학교에서만 하는 게 아니다. 가장 기본적인 교육은 가정에서 맡아야 한다. 그다음 학교와 지역사회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학교란 더불어 살 때 즐겁고 행복한 곳이다.

 

김영미 위원은 현재 불광중학교 교사로 재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