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항쟁의 산물' 시민단체 어제와 오늘(서울신문, 070427)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6-30 11:56
조회
203
[6월 항쟁 20주년 ‘그날의 함성’ 그 이후] (3) ‘항쟁의 산물’ 시민단체 어제와 오늘
6월 항쟁의 중심에는 시민이 있었다.‘독재타도, 호헌철폐’를 외치며 거리로 나온 대학생과 시민, 그리고 퇴근 후 시위에 합류한 ‘넥타이 부대’가 있었다. 전경을 피해 달아나는 시위대를 숨겨 주거나 정성스레 물 한잔을 건네 준 사람도 6월 항쟁의 숨은 주역이었다.
SSI_20070426174340_V.jpg
▲ 1987년 6월10일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벌어진 가두시위. 경찰이 발사한 최루탄에 시위대가 쫓겨가고 있다.
6월 항쟁 이후 불붙기 시작한 ‘시민의 힘’은 시민운동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지금 ‘시민없는 시민단체’,‘명망가 중심의 운동’,‘대안 없는 비판’ 등으로 시민운동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6월 항쟁으로 촉발된 시민운동이 이제 새로운 도약을 위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시민 없는 그들만의 활동이 위기 자초

26일 시민·사회단체에 따르면 시민운동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급성장했다. 여성민우회(87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88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88년), 환경운동연합(93년), 참여연대(94년) 등 굵직한 시민단체들이 탄생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전국적으로 2만 3500여개에 이른다. 시민·사회단체들의 움직임은 2000년 총선 당시 ‘낙천·낙선운동’을 벌이며 전성기를 누렸다. 시민운동의 영역도 정치민주화를 넘어 사회·경제민주화로 다양화되고 세분화됐다.

그러나 2000년을 기점으로 위기론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시민운동이 일부 명망가 중심의 운동으로 변질되고, 일부 단체의 도덕성 문제가 도마에 오르면서 시민들이 하나둘 떠나기 시작했다. 또 보수·진보 단체의 대립과 정치·권력화로 ‘그들만의 단체’로 바뀌었다.

안진걸 희망제작소 사회창안팀장은 “단체의 영향력이 떨어진 게 위기가 아니라 시민들과 함께 하려는 치열함과 진정성 부족이 위기를 불렀다.”면서 “교수, 변호사, 활동가, 고액후원자 등 전문 집단이 독점한 시민운동 의제를 시민들에게 돌려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시 시민속으로, 시민과 함께’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6월 항쟁 당시와 같이 자발적인 시민참여 열기를 되살리는 것이 시민운동이 재도약하는 길이라고 입을 모은다. 쟁점을 쫓아가는 운동보다는 내실화에 치중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경실련은 ‘통계와 수치로 말하자.’는 운동을 몇 년째 실천하고 있다. 그 성과는 지난해 ‘아파트값 거품빼기 운동’으로 나타났다. 윤순철 경실련 시민감시국장은 “보도자료를 내는데도 3개월 이상 철저하게 준비를 했다.”면서 “시민이 없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을 벌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맹목적인 비판보다는 대안 마련에 중점을 둔 단체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희망제작소,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생태지평,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등이 대표적이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시민단체가 이것저것 다하다가 무엇하나 제대로 못하는 악순환이 위기를 자초했다.”면서 “정형화된 운동의 틀을 깨고 ‘할 수 있는 하나라도 제대로 하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 열악한 시민운동가 처우
SSI_20070426173949_V.jpg
시민운동가 A씨는 지난해 국회보좌관으로 자리를 옮겼다.10년간 시민운동을 통해 남은 것은 5000만원의 빚 뿐. 생활고에 시달리다 시민운동을 접었다. 매월 시민단체 15곳에 내는 회비만 50만원인 A씨는 “지금도 시민단체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쉽지 않다.”고 전했다.시민운동 활성화의 또다른 걸림돌은 시민단체 상근자들의 열악한 처우다.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와 경실련 상근자들의 임금이 10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회비를 내는 회원이 줄면서 단체의 재정이 악화되고, 이로 인해 단체의 사무를 보는 상근자들이 떠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참여연대는 올해부터 상근자 최저임금을 100만원으로 정했다.4년간 동결했던 임금을 지난해 15% 인상한 결과다. 경실련도 같은 방식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기본급을 95만원으로 올렸다. 경실련은 한때 상근자만 90명에 육박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나 5∼6년전 55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지금은 34명이 일하고 있다. 경실련은 상근자 35명을 상한선으로 정했다.

박병옥 경실련 사무총장은 “선택과 집중에 맞춰 지난 3년간 급여를 높이고 사람을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지금은 딜레마”라면서 “‘선택과 집중’을 할지, 인력을 더 늘릴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 과잉대표성 폐해

시민운동의 침체 원인이 명망가 중심의 운동이 빚어낸 ‘과잉 대표성’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명망가들이 각종 시민·단체 공동대표 등에 겹치기로 나서는데다 정부 자문위원회 진출까지 독점하면서 ‘시민’의 설자리가 사라져 버렸다는 지적이다.‘시민의 힘’을 보여준 6월 항쟁의 정신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일부 명망가들이 독점한 시민운동의 의제를 다시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원로 한명이 여러 단체 대표로 ‘겹치기 출연’

대표적인 원로 시민운동가인 A목사는 자신이 공동대표 등으로 있는 단체가 너무 많아서 일일이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 그는 “일은 실무자가 다하니까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기자회견장을 지키는 것 뿐”이라고 털어놨다. 명망가 위주로 ‘이름 빌려주기’하는 것도 문제다. 심지어 ‘단체 따로, 대표 따로’라는 웃지못할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지난 1월10일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30여개 시민단체들은 최근 파행을 겪고 있는 ‘시민의신문 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비난 성명을 냈지만 이 신문의 이사로 있는 B씨는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를 겸하고 있다.

일부 인사가 정부 자문위원회도 독점

민주당 손봉숙 의원이 지난해 5월 발표한 여성단체 인사들의 정부 자문위원회 진출 현황에 따르면 박인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사무총장은 14개, 김소림 인천여성단체협의회 회장 11개, 조윤미 녹색소비자연대 사무처장 11개, 김재옥 소비자시민모임 회장 11개,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 10개의 정부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여성운동가 출신인 손 의원은 “이들이 겹치기로 자문위원회에 나가서 과연 내실 있는 자문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했을 정도다. 한상희 건국대 법대 교수는 일부 시민단체 명망가들의 자질 부족과 무책임을 꼬집는다. 그는 “개인 경험을 늘어놓거나 양비론으로 흘러 김을 빼놓는 경우를 적지 않게 봤다.”고 꼬집었다. 명호 생태지평 연구원은 “정부는 책임과 권한은 주지 않고 내용은 취약한 명분밖에 없는 민관협력을 원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가진 시민운동가가 아니라 그들을 대표하는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명망가 중심 시민운동 이제 끝내야’

시민운동가들은 시민단체 원로들을 ‘얼굴마담’으로 전락시키는 것은 형식에 치우친 연대사업과 급조된 기자회견 남발을 원인으로 꼽는다.

한 시민단체 정책실장은 “제대로 된 기자회견이라면 가장 열심히 하고 제일 잘 아는 사람이 앞에 나와야 하는데 실제로는 늘 오던 사람만 기자회견장을 채우는 경우가 많다.”고 인정하면서 “연대기구, 기자회견, 집회 모두 남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안진걸 희망제작소 사회창안팀장은 “시민운동 상층부들이 필요 이상으로 정부위원회에 참여함으로써 정부와 결탁한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전체 4,00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822
일선경찰서, 사실상 취재봉쇄 (MBC뉴스 07.05.23)
hrights | 2017.07.02 | | 조회 149
hrights 2017.07.02 149
821
종교폐쇄성은 문화다양성 짓밟는 것(시민사회신문, 07.05.21)
hrights | 2017.07.02 | | 조회 171
hrights 2017.07.02 171
820
기자실 폐쇄…'국민의 알권리 위협' (노컷뉴스 07.05.23)
hrights | 2017.07.02 | | 조회 157
hrights 2017.07.02 157
819
법무부 ‘인권의식 뜨뜻미지근’ (한겨레 07.05.23)
hrights | 2017.07.02 | | 조회 177
hrights 2017.07.02 177
818
시민·사회단체·학계 우려…“언론감시 거부하겠다는 것” (서울신문 07.05.23)
hrights | 2017.07.02 | | 조회 165
hrights 2017.07.02 165
817
‘좁아진’ 권력 감시… ‘뒷문 취재’ 만연할듯 (서울신문 07.05.23)
hrights | 2017.07.02 | | 조회 193
hrights 2017.07.02 193
816
법무부, 5개년 국가인권정책 기본계획 발표… 사형제 등 3대 쟁점 입장 유보 (국민일보 07.05.22)
hrights | 2017.06.30 | | 조회 215
hrights 2017.06.30 215
815
인권침해·밀실행정 감시기능 위축 (한겨레 07.05.21)
hrights | 2017.06.30 | | 조회 182
hrights 2017.06.30 182
814
"김승연, 이건희한테 더 배워야" (미디어오늘 07.05.19)
hrights | 2017.06.30 | | 조회 175
hrights 2017.06.30 175
813
'양심수' 삼성일반노조 위원장 투병 중 (미디어오늘 07.05.17)
hrights | 2017.06.30 | | 조회 187
hrights 2017.06.30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