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연합뉴스]<출근길 인터뷰> '벌금 낼 돈 없어 장발장은행서 빌렸다가 이젠 기부합니다'(24.01.15)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24-01-15 09:05
조회
946
기사원문


[앵커]
소설 속 장발장은 배가 고파 빵을 하나 훔쳤다는 이유로 무려 19년 동안 옥살이를 했죠.
현실에도 이런 장발장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현대판 장발장'들의 버팀목 '장발장 은행'이 문을 연 지 10년이 됐습니다.뉴스캐스터 연결해서 '장발장 은행'의 10년간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신제인 캐스터.

[캐스터]
월요일 아침 출근길 인터뷰는 오창익 장발장은행 대표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십니까?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안녕하세요.

[캐스터]
대표님, 먼저 장발장 은행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장발장 은행은 벌금형을 선고받은 분들을 도와드리는 건데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는 건 징역형이 아니기 때문에 감옥에 가지 않아도 되는 가벼운 범죄를 저질렀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런데 벌금을 내지 못하면 감옥에 끌려가거든요.
그렇다면 죄질이 나빠서 또 위험해서 감옥에 가는 게 아니라 단지 돈이 없어서 감옥에 가는 것이기 때문에 비참합니다.
이분들께 저희가 작은 도움을 드리고 있는데요.
저희가 벌금을 빌려드리면 이분들이 저희한테 이자는 내지 않고 나눠서 갚도록 하는 겁니다.

[캐스터]
그런데 현대판 장발장 모두에게 돈을 빌려줄 수는 없을 텐데요. 어떻게 선별하나요?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저희가 이를테면 죄종별로, 종류별로 구별을 조금 하긴 합니다.
이를테면 음주운전을 했다거나 또는 몰카 등을 사용한 분들에겐 절대 못 빌려드리고요.
또 젊은 분들에게 가급적 많이 빌려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감옥을 체험하는 건 그 젊은이에게도 좋지 않은 일이지만 사회에게도 좋은 일 아닙니다.
왜냐하면 교도소에 가면 자칫 잘못하면 범죄를 배우는 경우도 있거든요.

[캐스터]
앞서서 이자없이 운영을 한다고 말씀 주셨는데요. 그럼 대출금 상환율은 어느 정도인가요?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저희가 지금까지 한 22억 원 정도 빌려드렸고요. 1,200여 명에게 빌려드렸습니다.
그런데 800명 정도가 갚고 있습니다. 대출은 꾸준히 잘하고 있는 편입니다. 아, 대출 상환은요.

[캐스터]
그럼 장발장 은행에서 대출을 받고 실제로 재기에 성공하신 분들도 계셨나요?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그럼요. 당장에 목돈으로 벌금을 내는 게 어려울 뿐이지 이를테면 300만 원이라는 돈도 한 달 내에 내려면 굉장히 곤혹스러운데 이걸 나눠 내면 그래도 형편이 좀 가능할 수 있거든요.
그리고 저희에게 당장 벌금을 빌려가서 또 취업에 성공하거나 하는 분들 굉장히 많고요.
특히 저희가 감사하게 생각하는 분들은 장발장 은행에 후원금을 내주시는 분들도 있어요.

[캐스터]
그런데 최근에 이 장발장 은행을 찾는 분들이 부쩍 많이 늘었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이유인지요?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아쉬운 대목인데요.2021년에 한 해 동안 벌금 미납을 이후로 감옥에 간 사람이 2만 1000명이었고요.
2022년에 2만 5000명입니다. 좀 는 거죠.
그런데 작년에 급증했습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벌금을 못 내서 감옥 간 사람이 5만 명이나 됩니다.
그러니까 감옥 간 사람들이 느니까 장발장 은행에 도움을 요청한 사람도 자연스럽게 늘고 있습니다.

[캐스터]
장발장 은행 앞으로의 목표도 궁금합니다.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저희는 벌금 빌려드리는 게 능사가 아니라 벌금 제도를 개혁했으면 좋겠습니다.
유럽 대부분의 나라는 벌금을 소득과 재산에 따라 달리 매기고 있습니다.
같은 300만 원이라도 돈 많은 사람에게는 아무런 고통도 없는데 가난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액수가 될 수 있거든요.
그러니까 벌금 제도를 공평하게 개혁해 줬으면 좋겠는데 정부가 나서줬으면 합니다.

[캐스터]
마지막으로 이곳 장발장 은행에 힘을 보태고 싶은 분들 어떻게 하면 좋을지도 설명해 주시죠.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장발장 은행은 인권연대가 운영하고 있는데요.인권연대나 장발장 은행은 정부나 기업의 지원을 사양하고 있습니다.
대신 시민의 참여는 환영하고 있는데요.
장발장 은행의 홈페이지를 검색해 주시면 후원하실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나옵니다.

[캐스터]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오창익 / 장발장은행 대표]
고맙습니다.

[캐스터]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신제인 캐스터)
전체 4,06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49
[한겨레21] ‘차명재산 논란’ 오광수 민정수석 사의 표명한 이유
hrights | 2025.06.13 | | 조회 11
hrights 2025.06.13 11
4048
[시사위크]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6 | | 조회 139
hrights 2025.05.16 139
4047
[핀포인트뉴스] "돈이 없어 감옥가는 일 없도록...벌금제 등 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모색해야"
hrights | 2025.05.16 | | 조회 123
hrights 2025.05.16 123
4046
[일요서울]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5 | | 조회 118
hrights 2025.05.15 118
4045
[한겨레21] 사법부 개혁 불러낸 ‘조희대 6일 천하’
hrights | 2025.05.10 | | 조회 135
hrights 2025.05.10 135
4044
[한겨례21]지연된 탄핵에 지친 시민들 “차라리 국민투표하자”
hrights | 2025.04.02 | | 조회 297
hrights 2025.04.02 297
4043
[서울신문] “차별·혐오는 ‘철창 없는 감옥’… 다양성 존중하는 무지개 사회 돼야” [87년 체제 ‘대한민국’만 빼고 다 뜯어고치자]
hrights | 2025.03.24 | | 조회 230
hrights 2025.03.24 230
4042
[slow news]한덕수‧이재명 먼저? 윤석열 파면에 변수 안 된다: 슬로우레터 3월21일.
hrights | 2025.03.21 | | 조회 179
hrights 2025.03.21 179
4041
[경인일보] 사라지는 퀴어 동아리, 다수결이 밀어낸 다양성
hrights | 2025.03.06 | | 조회 74
hrights 2025.03.06 74
4040
[한겨레21] 이재명, 악마화와 자화상 사이 중도 없는 호불호
hrights | 2025.03.04 | | 조회 720
hrights 2025.03.04 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