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전국 보호시설 1만명 미아찾기 DNA 채취(중앙일보 2004.04.08)
전국 보호시설 1만명 미아찾기 DNA 채취
아이찾는 부모 730명도 검사…대조키로
경찰청은 오는 21일부터 한달간 무연고 아동과 장기 미아의 부모 등 1만여명을 대상으로 유전자(DNA)를 채취해 미아찾기 사업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전국의 아동 보호시설 1200여곳에 수용돼 있는 18세 미만의 무연고 아동 9300여명과 잃어버린 자녀를 찾고자 하는 부모 730여명이 그 대상이다.
아이 찾기를 원하는 부모들은 관할 경찰서에서 DNA 채취를 신청하고, 무연고 아동들은 복지시설 책임자의 동의를 받아 DNA를 채취할 수 있도록 했다.
DNA 채취팀은 전국 233개 경찰서별로 경찰관.시민단체 활동가.사회복지사 등 4~5명으로 구성된다.
DNA 채취는 특수 제작된 채취봉으로 대상자의 입 안을 두세 차례 가볍게 긁어 구강 피부 조직을 떼어내는 방식이다.
수집된 DNA 정보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유전자센터로 보내지며 이름.인상착의.나이 등 개인 신상정보는 보건복지부 산하 어린이찾아주기센터에서 별도로 관리한다.
이어 DNA 정보를 통해 친자 관계가 확인되면 어린이찾아주기종합센터에서 신상정보와 대조한 뒤 해당 아동을 보호하고 있는 복지시설과 연락해 가족 상봉을 주선한다는 것이다.
가족 상봉이 이뤄지거나 무연고 아동 중 일정한 나이가 들어 부모 찾기를 원하지 않을 때는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정보가 삭제된다.
DNA 채취-분석-친자 확인-상봉의 전 과정은 인권단체.미아가족모임.유전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10여명의 운영 참관단이 감독하도록 했다.
경찰청 이금형 여성청소년과장은 "다음달 20일까지 DNA 채취를 끝내고 한달여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을 거쳐 오는 7월 중 본격적인 가족 상봉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권실천시민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장기미아찾기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DNA 정보가 이용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배노필 기자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050 |
[경향신문] 경찰청장 장관급 격상 가능할까?…“얻는 것 없이 견제만 강화될 수 있다” 우려도
hrights
|
2025.07.13
|
|
조회 22
|
hrights | 2025.07.13 | 22 |
4049 |
[한겨레21] ‘차명재산 논란’ 오광수 민정수석 사의 표명한 이유
hrights
|
2025.06.13
|
|
조회 36
|
hrights | 2025.06.13 | 36 |
4048 |
[시사위크]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6
|
|
조회 158
|
hrights | 2025.05.16 | 158 |
4047 |
[핀포인트뉴스] "돈이 없어 감옥가는 일 없도록...벌금제 등 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모색해야"
hrights
|
2025.05.16
|
|
조회 146
|
hrights | 2025.05.16 | 146 |
4046 |
[일요서울]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5
|
|
조회 137
|
hrights | 2025.05.15 | 137 |
4045 |
[한겨레21] 사법부 개혁 불러낸 ‘조희대 6일 천하’
hrights
|
2025.05.10
|
|
조회 158
|
hrights | 2025.05.10 | 158 |
4044 |
[한겨례21]지연된 탄핵에 지친 시민들 “차라리 국민투표하자”
hrights
|
2025.04.02
|
|
조회 314
|
hrights | 2025.04.02 | 314 |
4043 |
[서울신문] “차별·혐오는 ‘철창 없는 감옥’… 다양성 존중하는 무지개 사회 돼야” [87년 체제 ‘대한민국’만 빼고 다 뜯어고치자]
hrights
|
2025.03.24
|
|
조회 237
|
hrights | 2025.03.24 | 237 |
4042 |
[slow news]한덕수‧이재명 먼저? 윤석열 파면에 변수 안 된다: 슬로우레터 3월21일.
hrights
|
2025.03.21
|
|
조회 191
|
hrights | 2025.03.21 | 191 |
4041 |
[경인일보] 사라지는 퀴어 동아리, 다수결이 밀어낸 다양성
hrights
|
2025.03.06
|
|
조회 81
|
hrights | 2025.03.06 | 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