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단독] 몸으로 때운 벌금 작년에만 3조원 (서울신문, 2020.02.17)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20-02-18 10:24
조회
613

지난 한 해 교도소 노역으로 벌금 납부를 대신 한 총액이 3조원에 달한다. 이는 5년 만에 38.1%가 급증한 수치다. 전체 약식명령 벌금액에서 노역장으로 집행된 액수의 비율도 10% 포인트 넘게 늘었다. 약식명령 선고인 가운데 벌금을 낼 돈이 없어 몸으로 때우는 대상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17일 서울신문이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선고된 약식명령 벌금액 5조 1257억원 중 절반이 넘는 3조원이 노역장 유치를 통해 집행됐다. 이는 2015년의 2조 1723억원보다 38.1%가 는 규모다. 전체 벌금액 중 노역장에서 집행된 비율도 2015년 48.1%에서 지난해 58.5%로 10.4% 포인트 증가했다. 벌금형 집행 건수는 2015년 91만 6922건보다 25만 9494건 줄었지만 노역장 집행 비율은 4.6%(4만 2689건)에서 5.3%로 0.7% 포인트가 오히려 늘었다. 전체 벌금형 건수는 줄고 있지만 돈을 내지 못해 교도소로 끌려가는 환형유치자 숫자는 더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노역장에 유치되는 피고인들의 벌금액은 100만원 이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실제 노역장 유치일을 기준으로 계산할 때 지난해 집행된 2만 6337건의 55.2%인 1만 4533건이 100만원 이하 벌금형이었다. 벌금액 분포는 100만원 초과 200만원 이하가 16.6%(4377건), 200만원 초과 300만원 미만 12.8%(3378건), 3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 11.4%(3003건), 500만원 초과 1000만원 이하 3.0%(798건), 1000만원 이상 0.9%(248건)였다. 벌금 액수가 적은 사람일수록 노역장에 끌려가는 경우가 많았다.


수도권에서 30년 넘게 재직 중인 한 교도관은 “몸으로 벌금을 때운 피고인 가운데 석방 후 취업이 어렵거나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다시 범죄에 빠지는 악순환이 많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전체 4,061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49
[한겨레21] ‘차명재산 논란’ 오광수 민정수석 사의 표명한 이유
hrights | 2025.06.13 | | 조회 20
hrights 2025.06.13 20
4048
[시사위크]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6 | | 조회 145
hrights 2025.05.16 145
4047
[핀포인트뉴스] "돈이 없어 감옥가는 일 없도록...벌금제 등 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모색해야"
hrights | 2025.05.16 | | 조회 127
hrights 2025.05.16 127
4046
[일요서울] 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명예은행원으로 위촉
hrights | 2025.05.15 | | 조회 127
hrights 2025.05.15 127
4045
[한겨레21] 사법부 개혁 불러낸 ‘조희대 6일 천하’
hrights | 2025.05.10 | | 조회 141
hrights 2025.05.10 141
4044
[한겨례21]지연된 탄핵에 지친 시민들 “차라리 국민투표하자”
hrights | 2025.04.02 | | 조회 299
hrights 2025.04.02 299
4043
[서울신문] “차별·혐오는 ‘철창 없는 감옥’… 다양성 존중하는 무지개 사회 돼야” [87년 체제 ‘대한민국’만 빼고 다 뜯어고치자]
hrights | 2025.03.24 | | 조회 230
hrights 2025.03.24 230
4042
[slow news]한덕수‧이재명 먼저? 윤석열 파면에 변수 안 된다: 슬로우레터 3월21일.
hrights | 2025.03.21 | | 조회 181
hrights 2025.03.21 181
4041
[경인일보] 사라지는 퀴어 동아리, 다수결이 밀어낸 다양성
hrights | 2025.03.06 | | 조회 75
hrights 2025.03.06 75
4040
[한겨레21] 이재명, 악마화와 자화상 사이 중도 없는 호불호
hrights | 2025.03.04 | | 조회 725
hrights 2025.03.04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