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유레카] 오월 걸상 / 안영춘 (한겨레, 2020.05.17)
“걸터앉는 기구. 가로로 길게 생겨서 여러 사람이 늘어앉을 수 있는 거상(踞床)과 한 사람이 앉는 의자로 크게 나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오는 ‘걸상’의 뜻풀이다. 언중은 흔히 걸상과 ‘의자’를 섞어서 쓰지만, 국립국어원은 걸상의 범주가 의자의 범주를 안으로 품는다고 정의한다.
<고흐의 의자>와 <고갱의 의자>는 빈센트 반 고흐가 프랑스 아를에 살 때 그린 작품이다. 평자들은 두 그림 모두 의자 주인의 인격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말한다. 반 고흐가 자신의 방을 그린 <아를의 침실>에도 의자 두개가 나오는데, <고흐의 의자>와 모양에 느낌마저 똑같다. 걸상은 본디 주인의 정령을 품는다는 듯이.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여/ (…) 이따가 침 맞고 와서는/ 참외밭에 지푸라기라도 깔고/ 호박에 똬리도 받쳐야겠다/ 그것들도 식군데 의자를 내줘야지”. 이정록의 ‘의자’는 시 전체가 걸상에 관한 환유다. 모든 힘든 존재가 걸터앉고 기대는 것이 걸상이다.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수원 경기도청과 남양주 마석 모란묘지에 ‘오월 걸상’이 들어섰다. 경기도청 걸상은 민중미술 작가 홍성담의 판화 <횃불 행진>이 새겨졌고, 모란묘지 걸상은 ‘4·3의 섬’ 제주 출신 조각가 이승수의 작품이다. 앞서 2018년 부산과 전남 목포, 지난해 서울 명동성당에도 오월 걸상이 설치됐다.
오월 걸상들은 작가도, 모양도 다 다르다. 어느 것은 거상이고 어느 것은 의자다. 다만 재료는 모두 돌이다. 돌도 걸상도 원래는 말이 없으나, 오월 걸상은 ‘말 없음’보다는 ‘말 줄임’이다. 소박한 걸상에는 ‘오월 걸상’이라는 이름과 피의 항쟁 기간(5월18일~27일)만 겨우 글로 새겨져 있는데, 행간은 여느 웅장한 5·18 조형물에서도 볼 수 없는 환유로 가득하다.
“우리는 모두 5·18의 희생과 헌신과 나눔에 걸터앉고 기대어 있다. 그러나 40년 전 광주가 고립됐듯이, 오늘의 5·18도 광주에 머물러 있다. 광주로 보면 과잉이고, 전국으로 보면 과소다. 오월 걸상에는 말을 넘어서고 지역을 넘어서고자 하는 뜻이 담겼다.”(오창익 오월걸상위원회 실행위원)
안영춘 논설위원 jona@hani.co.kr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038 |
[News1]우원식 "경제적 격차로 형벌 불평등…국회가 역할 할 것" 장발장은행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벌금부과 제도 개선해야"
hrights
|
2025.02.25
|
|
조회 215
|
hrights | 2025.02.25 | 215 |
4037 |
[로이슈]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참석
hrights
|
2025.02.25
|
|
조회 212
|
hrights | 2025.02.25 | 212 |
4036 |
[slow news]8:0 만장일치 파면을 전망하는 이유: 슬로우레터 2월21일.
hrights
|
2025.02.21
|
|
조회 268
|
hrights | 2025.02.21 | 268 |
4035 |
[slow news]솔루션 아카이브: 검찰개혁.
hrights
|
2025.02.21
|
|
조회 198
|
hrights | 2025.02.21 | 198 |
4034 |
[아시아경제] [시시비비] 장발장은행 언제 문닫을까
hrights
|
2025.02.12
|
|
조회 125
|
hrights | 2025.02.12 | 125 |
4033 |
[slow news] “이번에 난가?” 김문수가 나오면 ‘땡큐’라고 하는 이유: 슬로우레터 1월24일.
hrights
|
2025.01.24
|
|
조회 590
|
hrights | 2025.01.24 | 590 |
4032 |
[한겨레21] ‘받아쓰기 언론’ 기계적 균형, 민주주의 훼손한다
hrights
|
2025.01.21
|
|
조회 346
|
hrights | 2025.01.21 | 346 |
4031 |
[한겨레21] 내란 수사권 없는 검찰, 왜 윤석열 수사에 뛰어들었나?
hrights
|
2024.12.17
|
|
조회 299
|
hrights | 2024.12.17 | 299 |
4030 |
[한국일보] 법학 교수들 긴급 논의 "내란 행위 현재진행형···검찰 수사는 위법 소지"
hrights
|
2024.12.11
|
|
조회 332
|
hrights | 2024.12.11 | 332 |
4029 |
[slow news]윤석열 탄핵안 표결 D-1,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줄 때다: 슬로우레터 12월6일.
hrights
|
2024.12.06
|
|
조회 200
|
hrights | 2024.12.06 | 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