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단독] 육군훈련소 ‘인터넷편지 중단’ 철회 가닥 (세계일보, 2020.10.15)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20-10-15 15:46
조회
744

훈련병에게 인터넷 편지 대신 단문 응원 메시지만 전달해주기로 정책을 바꾼 논산 육군훈련소가 이를 철회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에 따르면 육군훈련소는 다음주 회의를 열고 인터넷 편지 서비스 재개 등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진행중인 단문 응원 메시지를 다음주까지만 운영하고 원래의 인터넷 편지 서비스 재개가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훈련소는 지난 12일부터 훈련병에게 보내는 인터넷 편지 쓰기 서비스를 중단했다. 훈련소는 하루 1000건이 넘게 접수되는 연예인 출신 훈련병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개선할 방법을 모색했다. 훈련소는 “코로나19 감염예방 활동 기간 장병의 피로도가 감염예방 활동으로 기간 장병의 피로도가 증가했고, 훈련병 인터넷 편지 출력물 과다로 예하부대에서 애로사항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훈련소는 대외적으로는 “각 부대에서는 1일 평균 2시간 이상을 편지 출력과 개인별 전달에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인쇄용지가 사용되고 있고 훈련병의 안전한 교육훈련과 훈육 등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하지만 서비스 중단 소식이 알려지면서 각계에서 비판을 받았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언론 기고글에서 “복사용지 아깝다며 인터넷 편지쓰기마저 막아버리는 일부터 당장 그만둬야 한다”며 “직업군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의무복무군인들을 도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 의원은 지난 10일 “한창 빛날 나이에 군대에 들어가 국방의 의무로 자신을 희생하는 청년들인데 사소해 보이는 인터넷 편지에서 희망과 보람을 찾는다”며 “육군이 그 고충을 안다면 아니 알지 못했더라도 이런 식의 접근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호소했다.


이 같은 반응에 육군훈련소 측은 전 의원에게 “단문 메시지로의 전환 서비스를 1∼2개월 진행하기로 했는데 이를 일주일로 줄이고 향후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여권 관계자는 “비판 여론이 거센만큼 육군훈련소가 인터넷편지 폐지 계획을 철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귀띔했다. 전 의원은 “육군은 의견수렴을 통해 인터넷 편지를 제한했다고 하나, 그 과정에 훈련병들과 부모님, 국민들의 목소리는 없었다”며 “행정편의적인 태도가 만들어낸 명백한 졸속행정이므로 즉시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segye.com
전체 4,062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040
[한겨레21] 이재명, 악마화와 자화상 사이 중도 없는 호불호
hrights | 2025.03.04 | | 조회 736
hrights 2025.03.04 736
4039
[한겨레21]진보는 세를 놓고 보수로 문패 다나
hrights | 2025.02.28 | | 조회 253
hrights 2025.02.28 253
4038
[News1]우원식 "경제적 격차로 형벌 불평등…국회가 역할 할 것" 장발장은행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벌금부과 제도 개선해야"
hrights | 2025.02.25 | | 조회 224
hrights 2025.02.25 224
4037
[로이슈]우원식 의장, 장발장은행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참석
hrights | 2025.02.25 | | 조회 230
hrights 2025.02.25 230
4036
[slow news]8:0 만장일치 파면을 전망하는 이유: 슬로우레터 2월21일.
hrights | 2025.02.21 | | 조회 279
hrights 2025.02.21 279
4035
[slow news]솔루션 아카이브: 검찰개혁.
hrights | 2025.02.21 | | 조회 205
hrights 2025.02.21 205
4034
[아시아경제] [시시비비] 장발장은행 언제 문닫을까
hrights | 2025.02.12 | | 조회 131
hrights 2025.02.12 131
4033
[slow news] “이번에 난가?” 김문수가 나오면 ‘땡큐’라고 하는 이유: 슬로우레터 1월24일.
hrights | 2025.01.24 | | 조회 599
hrights 2025.01.24 599
4032
[한겨레21] ‘받아쓰기 언론’ 기계적 균형, 민주주의 훼손한다
hrights | 2025.01.21 | | 조회 359
hrights 2025.01.21 359
4031
[한겨레21] 내란 수사권 없는 검찰, 왜 윤석열 수사에 뛰어들었나?
hrights | 2024.12.17 | | 조회 308
hrights 2024.12.17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