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혼전성경험 인식·부모직업 묻는 대학…학생들(연합뉴스, 2021.03.13)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21-03-17 17:38
조회
496

(서울=연합뉴스) 이명환 인턴기자 = 올해 강원 A대학에 입학한 황준혁씨는 학교 측이 온라인에서 시행하는 신입생 실태조사 문항을 보고 두 눈을 의심했다.


부모님 직업과 혼전 성경험에 대한 인식을 묻는 등 민감한 문항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대학교 (CG).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TV 제공]


사생활 침해라고 판단한 황씨는 불참자 명단을 소속 단과대학에 통보한다는 공지에도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았다.

부모 직업·성경험 인식 질문…학생들 "황당"A대학 상담센터가 신입생의 대학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실시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문항을 두고 인권 침해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가 된 문항은 ▲ 부모 생존 여부 ▲ 부모 직업 ▲ 학비 조달 주체 ▲ 성(性) 인식을 묻는 항목 등이다.

학부모 관련 문항은 부모의 생존·사망 외에 이혼·별거 여부까지 응답하게 돼 있다. 부모 직업 문항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전문직, 생산직, 단순노무직과 같이 구체적인 업종을 답해야 한다.

부모 양육 태도, 부모와 대화 정도, 부모와 관계를 묻는 항목도 포함됐다.

성경험 인식을 묻는 문항의 경우 결혼 전 성경험, 혼전 동거, 동성애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답하도록 했다.


A대학 신입생 대상 설문조사 일부 문항
[A대학 온라인 설문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학생들은 프라이버시 침해라며 강하게 항의했다.

황씨는 "민감한 내용의 질문을 보며 황당했다"며 "고등학생 때도 안 하던 사적인 내용의 설문조사를 대학에서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A대 재학생 익명 커뮤니티에도 "대체 왜 이런 질문을 하는지 모르겠다", "80년대에 사는 것 같다", "상처받는 사람 분명히 있을텐데 생각 없나" 등 항의성 글이 대거 게시됐다.

설문조사가 강제성을 띠는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상담센터가 '신입생 전원이 설문조사를 필수 실시해야 하며, 미참여자 명단을 각 단과대학으로 보내 (설문조사를) 재실시할 예정'이라고 공지해 학생들 사이에서 조사 미참여시 불이익을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교내 커뮤니티에 게시된 설문조사 불만 글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황씨는 "미실시자 명단을 통보하면서까지 설문조사에 참여하라는 건 학생 입장에서 반강제나 다름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 "인권침해 소지"…대학 측 "문제 질문 삭제·수정 용의 있어"전문가들은 대학이 신입생들에게 민감한 개인정보를 묻는 것이 인권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수도권 B대학 학생생활상담연구소는 2019년 연애경험, 첫 성관계 시기, 왕따 경험 등 민감한 질문이 포함된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으면 성적 조회가 불가능하게 했다가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인권침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인권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민감 개인정보는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 최소한의 범위에서 수집해야 한다"며 "설문조사 일부 문항은 명백한 인권침해"라고 주장했다.

인권정책연구소 김형완 소장도 "몇몇 문항은 신입생 대학 생활을 돕겠다는 조사 목적과 무관한 질문"이라며 "인권침해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대 관계자는 "부모 직업 및 학자금 조달 관련 문항은 장학제도 마련에 참고하기 위한 것"이라며 "학내 구성원 대상 성 인지 감수성 교육 때 학생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학생들이 거부감을 느낀다면 일부 질문을 보완하거나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강제성 논란에 대해서는 "조사 참여율을 높이려다 보니 (필수참여) 관련 문구가 들어갔지만 설문조사가 필수는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A대 측은 최근 공지 게시글 내 신입생 필수 참여 관련 문구를 삭제했다.

hwanee1026@yna.co.kr
전체 4,00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959
[서울신문]“100만원 벌금 못 내, 몸으로 때워요”… 불경기가 낳은 ‘노역형’ 10년 새 최대(23.12.26)
hrights | 2023.12.26 | | 조회 319
hrights 2023.12.26 319
3958
[서울신문]100명 살 곳에 118명… ‘콩나물 교도소’ 역행(23.12.25)
hrights | 2023.12.25 | | 조회 86
hrights 2023.12.25 86
3957
[서울신문]100만원 벌금 못 내 감옥 간 극빈층 1년 새 2배 늘었다(23.12.25)
hrights | 2023.12.25 | | 조회 80
hrights 2023.12.25 80
3956
[시티타임즈]이자놀이 없는 '장발장은행', 현대판 장발장 14명에게 3,045만원 대출 시행(23.12.19)
hrights | 2023.12.20 | | 조회 115
hrights 2023.12.20 115
3955
[제주의 소리]제주교도소 수용자 사회 복귀 돕는 ‘평화인문학’ 진행(23.12.18)
hrights | 2023.12.18 | | 조회 97
hrights 2023.12.18 97
3954
[한겨레]<왜냐면> 교도소 ‘소년학교’ 어떻게 볼 것인가(23.12.14))
hrights | 2023.12.14 | | 조회 94
hrights 2023.12.14 94
3953
[경향신문]인권위원 인선 독립성·투명성 지키려면(23.12.10)
hrights | 2023.12.11 | | 조회 97
hrights 2023.12.11 97
3952
[경향신문]빈곤과 급진적 변화에 대한 열망···조문영의 빈곤 연구
hrights | 2023.12.07 | | 조회 155
hrights 2023.12.07 155
3951
[서울신문] 벌금 못 내 노역장으로… 상생금융도 구제 못한 ‘장발장’
hrights | 2023.12.04 | | 조회 104
hrights 2023.12.04 104
3950
[한겨레] 인권연대,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수상작 선정
hrights | 2023.11.29 | | 조회 268
hrights 2023.11.29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