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home > 활동소식 > 언론에 비친 인권연대

잊혀진 GP총기사건 유족 한인기씨의 '울분' (연합뉴스 2005.07.13)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6-29 15:58
조회
379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경기 연천의 최전방 초소(GP) 총기난사 사건 희생자 8명의 안장식이 열리던 지난달 25일 대전 국립현충원에는 또 다른 총기난사 사건의 희생자 추모식이 세인들의 무관심 속에 진행됐다.


공교롭게도 1984년 6월26일 오전 육군 동부전선 모 부대 GP에서 조모 일병이 내무반에 수류탄을 투척하고 총기를 난사해 몰살당한 소초원 15명의 21주기 추도식이 이날 동시에 열렸던 것.


추모식에 참석한 고(故) 한주현 병장(당시 23세)의 숙부 한인기(62)씨는 "연천 사건 희생자 안장식을 지켜보면서 21년전 `쥐도 새도 모르게' 숨진 조카의 죽음이 더욱 비참하게 느껴졌다"며 회한 속으로 빠져들었다.


서울대 재학시절 입대한 한 병장은 전역을 6개월 앞두고 가족의 만류에도 `복학준비에는 GP 근무가 좋다'며 GP에 자원 입소했다가 17일만에 변을 당했다.


한씨는 총기난사 사건 소식을 듣고 해당부대로 달려가 시신을 확인한 결과 머리에 두번의 총격을 입었다는 군당국의 발표와 달리 한 병장은 왼쪽 귀 뒤에 성냥알만한 작은 상처만 있었을 뿐 시신 상태가 좋았다고 기억했다.


이뿐만 아니라 의무병이었던 한 병장이 당시 군당국의 조사결과 발표에는 사건 당시 상황실 근무로 돼 있었다는 것도 유가족에겐 커다란 의문점이었다.


한씨는 "군당국의 발표를 믿을 수 없었지만 그 당시는 지금처럼 유족이 군당국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유족들이 나서 보상을 요구할 만한 시대가 아니었다"며 "시신을 확인하는 유족에게 일일이 헌병대가 따라붙어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는 통에 다른 유족들과 제대로 의사소통을 하기도 힘들었다"고 암울했던 80년대를 회고했다.


결국 희생 병사들의 시신은 제대로 된 영안실도 아닌 부대 연병장에 안치돼 있다가 군당국의 발표와 동시에 사건발생 사흘만인 1984년 6월29일 새벽 전시(戰時)용 이동 화장시설에서 한줌의 재로 변했다.


한씨는 "어쩔 도리도 없이 군당국의 사고 발표와 보상안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했지만 당시 `전사자 인정ㆍ사고현장 공개ㆍ동작동 국립묘지 안장'을 군에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요구를 들어준다고 각서를 썼던 연대장은 사건발생에 따른 책임문제로 군복을 벗었고 21년이 흐른 지금 유족의 요구에 대한 군당국의 입장은 흐지부지돼 버렸다.


한씨는 "요구가 무시된 것뿐 아니라 당시 군사정부는 국가보안을 이유로 유족에게 `이 사건을 외부에 발설하지 말라'는 압력까지 넣었다"고 분개했다.


한 병장의 아버지 한준기(74)씨는 사건이 난 지 한달 뒤 보안사령부라는 곳으로부터 호출을 받아 꼬박 하루동안 조사를 받고 풀려났고, 한씨 역시 회사까지 찾아온 군당국 요원들의 `협박'에 시달려야 했다.


그는 "형(한준기 씨)을 비롯해 희생 병사 아버지의 대부분이 6.25 참전용사였다"며 "전쟁때 나라를 위해 싸우고 아들을 낳아 어렵게 키워서 군대에 보낸 결과가 고작 이것이냐"고 울분을 토로했다.


한씨는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 사건에서 생존한 동료 병사들이 `오륙도회'라는 모임을 만들어 일년에 꼭 한번씩은 찾아오면서 외아들을 잃은 채 환갑을 맞은 형님의 환갑잔치를 치러주기도 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아직까지 조카가 사건 발생 2주일 전 자신에겐 어떤 불행이 닥칠지 모른 채 `삼촌이 꿈에 보여 걱정이 된다'고 쓴 편지와 조카의 생전 사진을 간직하고 있다는 한씨는 "연로한 형님을 대신해 조카의 명예를 꼭 되찾아주고 싶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유족들이 사고 한달 뒤 당시 국회의장에게 진정서를 제출한 것을 비롯해 최근까지 국가인권위원회와 청와대, 여당 등에 진정서를 냈지만 돌아오는 건 형식적인 답변 뿐이었다"며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한씨는 "연천 총기난사의 관련 보도가 이어진 일주일이 우리들 유가족에겐 지난 21년보다 더 힘겨웠다"며 "정부와 군당국은 1984년 사건 역시 진상조사와 희생자 명예회복에 힘써 유가족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해결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전체 3,99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853
자유를 나눠주십시오 (한겨레21 666호 07.06.28)
hrights | 2017.07.02 | | 조회 148
hrights 2017.07.02 148
852
난 전생에 이 나라 사람이었나봐 (한겨레21 666호 07.06.28)
hrights | 2017.07.02 | | 조회 140
hrights 2017.07.02 140
851
시민이 경찰 감시하는 독립기구 만들어야(CBS 070605)
hrights | 2017.07.02 | | 조회 175
hrights 2017.07.02 175
850
불법시위 참가 손배책임 민사소송 없이 바로 집행(한겨레, 070626)
hrights | 2017.07.02 | | 조회 154
hrights 2017.07.02 154
849
단순훈련 비해 적응 빨라-소외계층 인문학교육 점검(시민사회신문, 070625)
hrights | 2017.07.02 | | 조회 153
hrights 2017.07.02 153
848
인문학 위기 타파, 재소자 사회 진출 도움(시민사회신문, 070625)
hrights | 2017.07.02 | | 조회 121
hrights 2017.07.02 121
847
교정인문학도 소통과 연대다(시민사회신문, 070625)
hrights | 2017.07.02 | | 조회 154
hrights 2017.07.02 154
846
시민단체 적극적인 언론 모니터 필요(중부매일, 070622)
hrights | 2017.07.02 | | 조회 156
hrights 2017.07.02 156
845
인권을 깊이 보는 시선이 필요하다(새충청일보, 070622)
hrights | 2017.07.02 | | 조회 144
hrights 2017.07.02 144
844
[6월 항쟁 20주년 ‘그날의 함성’ 그 이후] (12)끝 좌담 “절차적 민주 진전에 안주말고 더많은 ‘운동’ 필요” (서울신문 07.06.22)
hrights | 2017.07.02 | | 조회 142
hrights 2017.07.02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