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가시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목에가시

‘목에가시’는 현장을 살아가는 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한 칼럼 공간입니다.

‘목에가시’는 김형수(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총장), 신종환(공무원), 윤요왕(재)춘천시마을자치지원센터장), 이동화(아디 활동가), 이승은(경찰관), 이원영(용산시민연대 공동대표), 정한별(사회복지사) 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90년생이 온다는데(서동기)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9-05-15 14:43
조회
1637


서동기/ 인권연대 간사


 최근 두 친구가 사표를 냈다. 둘은 각자 첫 직장에 취직한 90년대 생이다. 불과 몇 달 전, 취업을 축하하며 새로운 출발의 기쁨을 나눴는데 둘은 이대로 버티다가는 정말 미쳐버릴 것 같다며 회사를 나왔다. 출근 시작 두 달 즈음 A는 아침에 눈을 뜨는 동시에 허공에 욕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방에 누워 하염없이 울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을 때 사표를 던지기로 했다. B는 수습을 통과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좋아하지도 않던 술을 홀로 마시기 시작했다. 취하지 않으면 잠을 잘 수 없었다. 우울함이 극에 달해 약물치료가 필요한 지경에 이르렀을 때 회사를 나왔다.


 A와 B는 퇴사를 말하면 대부분의 주변 사람들이 조금 더 생각해보라고, 금방 지나가니 견뎌보라고 하는 회사에 다녔다. 하지만 그들은 그곳에서 너무나 아팠고, 간절히 들어가고 싶어 했던 그곳을 빠르게 떠났다. 이런 이들을 요즘 밀레니얼 세대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들은 ‘모두가 그 정도는 견뎌왔다고, 그 정도도 견디지 못하느냐’고 말하던 생활을 거절한다. 그러니 기성세대들은 당황한다. 도대체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할지 몰라 대학로에 나가 연극과 거리공연을 보기도 하고 그들에 대해 공부도 하는 중이다.


 <90년생이 온다>는 책이 인기다. 언론에서 밀레니얼들을 분석한 기사도 자주 눈에 띈다. ‘응답하라1994, 1998’의 주인공 세대들은 그래도 사회에 잘 적응해나가는 것 같은데, 90년대 생들은 사회에 도전하는 것도, 적응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도피하다가 9급 공무원을 준비한다. 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90년생이 온다>는 어쩌다 그들이 응시자의 2%도 합격하지 못하는 9급 공무원에 열중하게 됐는지 분석한다. 90년대 생들은 ‘9급 공무원 세대’도 아니고 ‘9급 공무원이 되려는 세대’다.


 주어진 환경에서 잘 달려가면 뭔가가 있다고 90년대 생들은 믿었다.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열심히 외우고 온갖 시험을 봤다. 서른을 향해가는 삶에서 절반 이상 배운 것은 시키는 것에, 주어진 것들에 성실하면 잘 살 수 있을 거라는 가르침과 믿음이었다. 그런 면에서 90년대 생들은 한국 사회를 믿었다. 하지만 그들이 믿었던 것들이 이전 세대들도 어찌할 바 몰라 방치해둔 것인지 몰랐다. 90년대 생들의 가장 큰 잘못은 너무 늦게 깨달아버린 것이다. 믿음과 성실의 대가가 그 어떤 미래도 보장되지 않는 각자도생의 세상일 뿐이란 것을 몰랐다.



사진 출처 - 90년생이 온다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지 않은 97년, 98년생 이후의 세대를 ‘세월호 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세월호 세대는 그래도 다행일까. 세상이 시키는 대로 하면 죽음뿐이라는 것을 생생하게 보았으니. 각자도생으로 살아남아야만 한다는 사실을 그나마 일찍 깨달아서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그 앞의 밀레니얼들은 그것도 모르고 달려오다 지금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마지막 남은 9급 공무원을 준비하거나 한국 사회를 떠나는 중이다.


 9급 공무원을 준비하는 90년대 생들은 죽어라 외우는 것들이 삶에서 전혀 중요치 않음을 가장 잘 알면서도 수험서를 펼친다. 적어도 공무원시험은 배신당하지 않는 마지막 영역이라 믿기 때문이다. 직장과 한국 사회를 거절하고 떠나는 이들의 선택도 그렇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더 이상 기만당하지 않기 위해 떠난다. 그런 면에서 90년대 생의 선택과 행동들은 합리적이다. 그것은 도피도 아니고, 노력이 부족해서도 아니다. 9급 공무원을 준비하거나 직장을 거절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자기 직면과 삶의 많은 것을 포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90년대 생이 온다는데. 그들은 어딘가에 도달할 수 있을까. 그들이 정말 세상에 나올 수 있을까. 그들은 거대한 세상의 소모품으로, 무엇의 꼭두각시로 살다가 사라지고 싶지 않다. 삶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시기의 그들은 그래서 자꾸 떠난다. 직장을 거절하고 한국을 떠난다. 90년대 생들은 이곳을 지옥이라고, 헬조선이라 말하고 그것에 편입되길 거절하는 방법을 택했다. 한 사회의 가장 활발해야 할 세대. 미래의 무엇을 상상해야하는 세대의 책임도 있을 텐데 그런 상상은 90년대 생들에게 너무나 아득하다. 한국 사회로 90년대 생은 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