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가시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목에가시

‘목에가시’는 현장을 살아가는 활동가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한 칼럼 공간입니다.

‘목에가시’는 김형수(장애인학생지원네트워크 총장), 신종환(공무원), 윤요왕(재)춘천시마을자치지원센터장), 이동화(아디 활동가), 이승은(경찰관), 이원영(용산시민연대 공동대표), 정한별(사회복지사) 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메르스 참패 '한국대표팀', 감독-선수 누가 문제일까 (강국진)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7-12 16:23
조회
236

강국진/ 서울신문 기자


프로리그나 국가대표 축구팀에서 감독이 차지하는 역할은 어느 정도일까? 감독 하나만 바꾸면 꼴등하던 팀도 명문구단이 될 수 있을까? 혹시 감독교체 효과라는 건 사실 감독 교체가 주는 긴장감 때문에 선수들이 더 열심히 뛰었기 때문인 것이고, 감독의 역량 자체는 둘째 문제인 건 아닐까? 이런 생각을 하는 이유는 12년 전에는 사스 대응 모범국으로 국제사회로부터 칭찬을 받았던 국가가 12년 만에 메르스로 국제사회 민폐국이 된 원인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지난해 브라질 월드컵 예선탈락 뒤 홍명보 감독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빗발쳤다. 결국 홍명보는 불명예스럽게 물러나야 했다. 차범근이나 핌 베어벡 사례에서 보듯 큰 대회에서 성적만 나쁘면 재발하는 고질병인 '이게 다 감독 때문이야' 증세가 또 도졌다. 왜 현장 책임자만 희생양이 되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감독인 슈틸리케가 보여주는 지도력과 위기관리능력을 보면서 현장 야전사령관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메르스 대응을 위해 현장에서 뛰는 정부 조직을 축구팀에 비유해 본다면 어떤 모습일까? 내 눈에는 20여 년 전쯤 졸전을 펼치던 브라질 팀이 보인다. 당시 브라질팀은 뛰어난 개인기와 형편없는 조직력으로 욕먹는 팀이었다. 세대교체도 안 되고 동기부여도 안됐다. 축구의 기본인 패스도 안되니 경기가 제대로 될 턱이 없다. 하지만 감독이 바뀌고 규율을 세우자 브라질팀은 언제 그랬느냐는 듯 우승후보 면모를 금세 되찾았다.


메르스에 대처하는 한국 정부 조직은 어떨까? 축구대표팀에 빗댄다면 브라질이나 스페인까진 아니어도 월드컵 16강은 거뜬한 수준이다. 뛰어난 역량을 가진 공무원도 많고, 그걸 받쳐줄 교육 시스템과 채용 시스템, 업무지원 시스템도 두루 갖추고 있다. 하지만 가만히 보면 단점도 많다. 메르스에서 드러난 전문 인력과 공공병상 문제는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한 예산과 정부규모가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점을 잘 드러낸다(이 글 참조/ 자작나무통신-공무원 숫자가 적어서 문제다).


더 심각하고도 근본적인 건 외람되게도 ‘감독’ 문제다. 그건 익명을 요구한 한 정부부처 고위급과 대화하면서 들은 충격적인 사태분석과 맞닿아 있다. 그 분이 진단하길 “지시를 못 받으니까 일을 못한다”고 했다. 그는 “권한은 내리고 책임은 올리라고 했는데 지금 정부는 정반대”라면서 “권한이 없으니까 청와대 눈치만 보는데 정작 청와대에선 지시가 내려오질 않는다”고 말한다. 한마디로 슛을 때릴 기회가 와도 감독 지시만 기다려야 하는 축구팀인 셈이다 (여기를 참조/ 자작나무통신-세월호와 용기 있는 공무원 죽이기).


안타까운 건 메르스 대응에 실패한 건 초등학교 축구팀이 아니라 국가대표팀이었다. 우리는 축구대표팀 경기에서 똑같은 선수들로 경기를 하는데도 감독이 누구냐에 따라 천차만별인 경기력을 보이는 사례를 여러 차례 목격한 바 있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지시랍시고 “열심히 해! 패스해! 잘 막아!”라는 하나마나한 고함만 지르다가, 실점하고 패배하고 나서는 “선수들이 내 지시를 제대로 따르지 않았다(고심 끝에 국가대표팀을 해체하겠다)!”라고 폭탄선언하는 감독 책임도 상당해 보인다.


SSI_20150617201558_O.jpg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월 17일 오후 세종시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를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사진 출처 - 서울신문


세월호도 그렇고 메르스에서도 정부에서 가장 큰 문제는 컨트롤타워가 제구실을 못했다는 점이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 증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 지자체 공무원은 “정부에 지역 상황을 보고하는 데 각 부처마다 따로 보고서를 요구한다. 보고서 작성과 전화 보고에 몇 시간씩 매달리느라 정작 급한 일이 뒤로 밀린다”고 말했다. “유언비어 단속이 아니라 신뢰를 쌓아야 불안감을 없앨 수 있다.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신뢰부터 쌓아야 한다 ”는 훈수까지 나온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컨트롤타워라며 만든 국민안전처는 ‘투명인간’이 돼 버렸다. 국민안전처 한 과장은 “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을 구성하지 않고 법에도 없는 ‘대책지원본부’를 만들었느냐”는 질문에 “중대본을 구성했더라도 메르스 사태에 대처할 능력이 없는 게 현실”이라고 답했다. 다른 정부부처 한 과장은 이에 대해 “안전처는 중앙-지방 공조체계 구축을 위한 마땅한 수단도 없다”면서 “더 중요한건 그럴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고 비판할 정도다.


그렇다고 정부 공무원들이 마냥 놀았느냐 하면 절대 그건 아니다. 대책본부에서 일하는 한 공무원은 “밥은 모두 도시락으로 때우고 잠은 3시간 정도 책상에 엎드려 자는 게 전부”라고 말했다. 한 고위공무원이 “현장 공무원들끼리 ‘자가격리되면 좋겠다. 집에서 잠이라도 푹 잘 수 있잖아’라고 농담하는 얘길 하는 걸 들었다”고 전했다. 비록 경기에 패배하더라도, 열악한 상황에서도 이리뛰고 저리뛰는 현장 수들의 땀과 눈물 자체는 인정해주고 박수를 쳐주고 싶다.


이 글은 2015년 7월 8일 인권연대 웹진 <사람소리> 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