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대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우리시대

‘우리시대’는 언론계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멘토가 되어, 작성한 칼럼에 대한 글쓰기 지도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칼럼니스트로 선정된 김태민, 이서하, 전예원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칼럼니스트를 위해 안동환(서울신문), 안영춘(한겨레), 우성규(국민일보), 기자가 멘토 역할을 맡아 전문적인 도움을 줍니다.

추석에는 안 하던 일을 해보자 (최우식)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8-09-19 11:29
조회
851

최우식/ 회원 칼럼니스트


 어릴 적 어머니는 자장가로 ‘섬 집 아기’라는 동요를 불러주셨다. 내게 이 노래는 즉효 약이었는데 노래가 감미로워서는 아니었다. 사실 그 반대였다. 공포였다.


책 <엄마가 섬 그늘에 굴 따러 가면> 이상교 글, 김재홍 그림.
사진 출처 - 알라딘



 엄마가 섬 그늘에 굴 따러 가면 / 아기는 혼자 남아 집을 보다가
 바다가 불러주는 자장노래에 / 팔 베고 스르르르 잠이 듭니다.
 아기는 잠을 곤히 / 자고 있지만
 갈매기 울음소리 / 맘이 설레어
 다 못 찬 굴 바구니 / 머리에 이고
 엄마는 모랫길을 / 달려옵니다.


 어떻게 이 노래가 자장가가 될 수 있나. 노래는 어머니의 부재를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가사로 어머니의 부재를 느꼈고 가사로 어머니의 존재를 확인했다. 그제서야 나는 묘한 안도감을 느꼈고 잠을 청했다.


 며칠 전, 온 가족이 함께 잠을 잤다. 열대야가 원인이었다. 도저히 에어컨이 없이는 잠을 청할 수 없었다. 어머니와 같은 천장을 바라보니 까마득한 옛날 일이 생각났다. 나는 어머니에게 대뜸 물었다. 어떻게 그런 노래를 자장가로 불러 줄 수 있느냐고. 무서워 죽는 줄 알았다고 했다. 어머니는 크게 웃으셨다. 그러고는 아무런 예고도 없이 추억의 자장가를 다시 부르셨다.


 우리에게 타임머신은 없지만 그렇다고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 건 아니다. 어머니가 자장가를 불러 주시는 순간 나는 과거로 돌아갔다. 노래는 여전히 나를 외롭게 했고 또 안도하게 했는데 그때와 달라진 건 어머니의 주름살뿐이었다. 그것이 나를 더 슬프게 했다. 나는 애써 눈물을 감췄고 너무 늦지 않게 다시 이 순간이 주어진 것에 감사했다. 폭염이 준 선물이었다.


 추석이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추석의 유래에는 이런 설이 있다고 한다. 고대 사회에서는 밤이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보름달이 뜰 때면 축제를 벌였다고 한다. 8월 15일(음력)은 일 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날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날을 큰 명절로 여기게 됐다는 이야기이다.


 시대가 많이 흘렀다. 추석이라고 집밖으로 나가 축제를 즐기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졌다고 공포마저 사라졌을까. 어머니의 노래를 이십 년 만에 들으면서 나는 어머니의 부재가 무서웠다. 이제 어머니의 부재는 언젠가는 마주하게 될, 피할 수 없는 확실함으로 내게 다가온다.


 우리나라는 가구 가운데 ‘1인 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다고 한다. 2045년이 되면 3명 중 1명은 1인 가구로 살아갈 것이라는 통계도 나왔다. 이제는 누군가와 같은 천장을 바라보면서 잠들 기회도 점점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그런다고 우리의 공포가 사라질까.


 이번 추석에 모두 어린 시절의 기억을 한 번 떠올려보는 건 어떨까. 이유도 없이 무서워 부모님을 찾아가 같이 자자고 말했던 경험 말이다. 꼭 부모님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이지만 오랫동안 같이 잠을 자지 않은 누구라도 좋을 테다. 나이가 들어 남사스런 일일지는 모르나, 혹시 아는가. 어릴 적 그랬던 것처럼, 설명되지 않는 안도감에 단잠에 들지도 모르는 일이다.


최우식 : 사람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피디 지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