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통신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발자국통신

‘발자국통신은’인권연대 운영위원들로 구성된 칼럼 공간입니다.

‘발자국통신’에는 강국진(서울신문 기자), 김희교(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염운옥(경희대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아연(당진시대 기자), 장경욱(변호사), 정범구(전 주독일 대사), 최낙영(도서출판 밭 주간)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21세기 세계사적 개인 대망론(待望論) (오인영)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8-06-07 15:35
조회
1885


오인영/ 인권연대 운영위원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현생인류를 포함하는 생물 종의 학명. 우리말로 바꾸면 ‘슬기인간’쯤 되겠다. 1758년 현대 분류학을 창시한 린네가 인간에 이런 거룩한 이름을 붙인 이래, 생각하는 능력, 그것도 사리를 바르게 판단해서 일을 처리하는 슬기는 인간의 으뜸가는 특질로 자리 잡았다.


 동물은 본능의 노예처럼 죽을 때까지 거기에 매여 산다. 욕망의 내용이나 모양, 가짓수가 바뀌는 법이 없다. 그래서 몇 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같은 종류의 짐승이라면 그들이 사는 모양은 똑같다. 그러나 사람이 사는 모양은 예전과 지금이 썩 다르다. 수렵과 채집을 하며 살았던 인간과 지금의 인간이 사는 모양은 하늘땅만큼이나 차이가 있다. 동물처럼 어제와 같은 오늘이 아니라 인간은 오늘이 어제와 다르고 내일이 오늘과 다른 세월을(정확히는 ‘역사를’) 살아왔다. 인간이 이렇게 다르게 살 수 있었던 비결도 일차적으로는 인간이 호모 사피엔스라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짐승이나 인간이나 자연 속에서 살기 위해 일을 하는 동물이지만, 인간의 일은 동물의 일과 다르다. 무엇이? 인간은 자연을 다루면서 더 쉽게,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일의 방법을 고쳐온 것이 다르다. 이렇게 자연을 다루는 일의 방법을 고쳐나갈 수 있게 한 힘이 바로 “호모 사피엔스”라고 할 때의 그 ‘슬기’이며, “생각하는 갈대”라고 했을 때의 그 ‘생각’이다.


 인간의 생각은, 동물이 유전적으로 타고난 본능이나 재주와 다르다. 동물의 본능은 변하지 않는다. 독수리가 제 아무리 빨리 날려고 해도 제트기처럼 날 수 없다. 독수리가 타고난 엔진과 몸뚱이는 인위적 성능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의 생각은 보태질 수도 있고, 줄어들기도 한다. 인간은 생각의 힘을 쌓고 모아서 마침내 독수리보다 더 빨리, 더 오래 나는 비행기를 발명해 냈다. 인간의 생각은 후천적, 의식적 노력 여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계통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개체적 차원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인류사적 차원에서 예술과 철학의 사조가 고전주의니 낭만주의니 포스트모던이니 하며 다양한 변천을 거듭해 왔듯이, 사람과 세계(자연과 사회)에 대한 개인의 생각은 유아기, 청소년기, 성년기를 거치면서 달라진다.


 생각이 지닌 경이로운 힘을 체험한 인간은, 개별적인 기억의 전수나 집단적인 기록의 보전의 형식으로 경험과 기억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보유하는 생각의 몸집을 불리려고 노력해 왔다. 생각의 몸집 불리기 챔피언이라 할 만한 대표적인 서양 사상가를 꼽자면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 F. W. Hegel 1770-1831)이 먼저 떠오른다. 그는 ‘생각’을 합리적 사고능력을 뜻하는 ‘정신(die Geist)’ 혹은 '이성(die Vernunft)'라는 말로 치환하고서 <인류의 세계사란 자유를 향해 나아가는 일종의 이성의 오디세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던가.


 헤겔은 역사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현상에 홀리지 않고 현상의 이면, 즉 속내(본질)를 들여다보면, 인간의 이성이 역사를 지배하고 움직이는 궁극적인 추동력임을 간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가 ⌈역사철학강의⌋에서 제시한 주장에 따르면, 역사의 표면적인 모습만 보면 이성은커녕 가장 추악한 일들이 쉼 없이 벌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인간의 이기적 욕망과 사사로운 개별적 이해관계의 파노라마라는 외면적 현상만 보는 인간에게 역사는 회의와 실망의 무대이다. 그러나 역사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사람에게 역사는 다르게 보인다. 즉. 역사의 속살을 들여다보는 사람에게 역사는 새로운 면모(본질적 측면)를 드러낸다. 헤겔은 인류의 역사에는 이성의 암호가 아로새겨져 있으며, 그 암호를 해독한다면 이성에 의해 움직이는 역사의 비밀을 간파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역사의 표리부동(表裏不同)을 만들어내는 이성의 교묘한 속임수를 “이성의 간지(List der Vernunft)”라고 불렀다.


 헤겔은 역사 속에서 작동하는 이성인 세계정신이 세계사를 이끌어간다고 역설했지만, 그렇다고 그가 세계정신이 직접 총칼로 무장하고 시가전을 벌이거나 전쟁을 수행한다고 주장한 거냐고 묻는다면, 그건 억측이다. 그는 특수한 이해관계에 사로잡힌 인간 개인의 정열이 없다면 자유의 실현이라는 이성의 목적도 결코 달성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헤겔은, 자유의식의 진보라는 목적 실현을 위해서 이성은 행동대원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즉, 세계사적 이성인 세계정신은 역사적 현실에서 행동하는 개별적 주체(인간)의 활동의 매개 없이는 결코 자신의 추상성을 탈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소 딱딱한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보편적 이성은 역사 속에서 개별적 인간의 욕망과 통일됨으로써만 참다운 구체적 보편을 구현할 수 있다.


 헤겔은 이성의 하수인으로 세계정신의 역사적 실현에 이바지하는 인간을 “세계사적 개인”으로 명명했다. 세계사적 개인은 그의 실제적 의도가 무엇이었든지 간에 세계사의 도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초래한 실천적 행위자들이다. 그는 자신들의 정열과 노력이 역사의 궁극 목적인 자유의식의 진보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단지 자신의 개인적 욕망과 특수한 이해의 실현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정열적 인간이다. 헤겔은 이런 세계사적 개인의 전형으로, 권력의 정점에 서고자 했으나 의도치 않게 로마를 강력한 구심점을 갖춘 세계제국으로 만든 카이사르나 유럽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으나 그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유럽의 봉건적 질서를 무너뜨린 나폴레옹을 제시한다. 요컨대, 헤겔의 세계사적 개인은 현상적으로는 개인적 정열에 의해 추동되지만 본질적으로는 역사의 변증법을 실행하는 이성의 도구요, 그 시대의 필연적 요구를 채워주고 실현하는 세계정신의 실행자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개인적 이해관계를 추구할 뿐 자신이 이성의 목적을 실행하는 대행자라는 것을 깨닫지는 못한다. 한 마디로, 자신이 행했으나 그 행위의 의미는 제대로 알지 못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눈썰미 있는 독자는 알아챘겠지만, 세계사적 개인에 관해 장황하게 이야기한 이유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임 오바마 대통령에 비해 민주적이거나 인권 지향적이거나 도덕적인 인물로 보이진 않는다. 그러나 노벨상을 타려는 개인적 욕망에서건, 11월 중간선거에서 자파 의원을 더 많이 당선시키려는 정치적 계산에서건 간에, 결과적으로 한반도의 낡은 냉전체제를 종식하고 평화공존의 새로운 시대를 여느냐 마느냐는 당장은 그의 손에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한반도의 운명을 한반도의 거주민들이 주체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처지의 아쉬움을 잠시 제쳐 놓는다면, 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사적 개인의 반열에 오르길 강렬히 희망한다. 한반도 평화(나아가 동아시아의 평화, 그리하여 인과적으로 세계의 평화)와 한반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명과 인권을 위해서가 아니라도 좋다. 명예욕과 정치적 계산에 따른 행위일지라도, 그가 북미평화협정을 성공적으로 체결해서 노벨평화상을 꼭 받았으면 좋겠다. 남북 분단과 적대적 대립에 따른 역사적 비극과 인간적 낭비를 걷어내는 평화만 만끽할 수 있다면, (팔레스타인사람들에게는 너무 미안하지만) 트럼프가 그런 21세기 세계사적 위인이 되길 간절히 희망한다. 평화와 인권의 정착이라는 우리 시대의 세계정신을 무의식적으로라도 채워주고 실천하는 세계사적 개인이 되기만 한다면, 나는 ⌈도널드 트럼프 위험한 사례⌋에서 말하는 정신분석학적 진단은 깡그리 무시하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성공을 기꺼이 성원하겠다.


오인영 위원은 현재 고려대 역사연구소에 재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