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통신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발자국통신

‘발자국통신은’인권연대 운영위원들로 구성된 칼럼 공간입니다.

‘발자국통신’에는 강국진(서울신문 기자), 김희교(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염운옥(경희대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아연(당진시대 기자), 장경욱(변호사), 정범구(전 주독일 대사), 최낙영(도서출판 밭 주간)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과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은 미래를 위한 작업 (김창남)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7-06-01 10:40
조회
391

  30년 전의 인혁당 사건이 박정희 정권에 의해 조작되고 박정희 자신에 의해 지시된 사법 살인이라는 사실이 국정원 과거사건 진실 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에 의해 공식 발표되었다. 이 발표를 통해 30년의 금기로 남아 있던 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이 드러난 셈이지만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비롯한 정당한 조치가 취해지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박정희 자신의 딸이 야당의 당수로 있고 당시의 권력자들 상당수가 아직 살아있을 뿐 아니라 박정희 시대의 향수를 못 잊어 하는 세력이 곳곳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과거사를 들추는 일체의 시도에 친북좌파 따위의 딱지를 붙이고 싶어 하는 천박한 논리도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과거사위의 발표 내용도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던 것을 그저 공식 확인한 정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나마 이 정도의 진실이 밝혀지기까지 그 많은 세월이 필요했다는 사실이 새삼 치떨리고 우울하게 실감될 뿐이다.


더욱 우울한 것은 지금 많은 사람들에게 인혁당 사건의 진실 따위는 그다지 관심의 대상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긴 당장 눈앞의 거리에서 농민이 맞아 죽어 가도 아무런 관심도 없는 판에 30년 전의 죽음에 무슨 관심이 있겠는가. 언제 그 성과가 나올지조차 알 수 없는 유전 공학이 가져다준다는 ‘국익’에만 눈이 멀어 그 과정의 진실성에 대한 질문조차도 ‘매국’이라며 몰매를 던지는 세상에서 30년전의 진실이 어떤 의미를 가질지 알 수 없는 것이다. 심지어 인혁당 사건 발표조차 MBC살리기이며 노빠들의 불끄기 전략이란 식의 주장조차 나오는 모양이다. 기가 막힌 일이다. 나는 그런 맹목의 논리에서 30년전 박정희가 뿌려 놓은 차가운 권력의 의지와 물신의 논리를 읽게 된다. 진실과 정의보다는 권력과 눈앞의 이익을 더 중요시하고 이를 위해 폭력조차 정당화하는 그런 논리 말이다.
05121403.jpg 사진 출처 - 서울신문



소수 권력자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권력 의지에 의해 죄 없는 사람들이 희생되는 일은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 왔다. 정당성과 합리성을 갖추지 못한 권력일수록 바로 그 권력의 보전을 위해 늘 더 많은 희생을 요구한다. 거기에는 언제나 일말의 인간적 회의조차 찾기 어려운 물신화된 폭력, 가공하리만큼 차가운 폭력이 개입한다. 그것은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연민조차도 아주 쉽게 내던져 버리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의 희생쯤은 아무렇지 않게 눈감아 버리는 물신화된 권력의 논리를 깔고 있다.

 박정희 시대와 전두환 시대를 되짚어보는 다큐멘터리들을 볼 때마다 우리는 그 가공할 폭력의 시대가 지금 여기로부터 불과 얼마 떨어져 있지 않다는 사실에 새삼 전율한다. 아니 그 시절을 관통하던 그 비인간의 증오와 물신화된 권력의 논리를 여전히 미신처럼 떠받들고 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에 분노한다. 아니 그런 증오와 권력의 논리는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 곳곳에 스며들어 하나의 문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에 소스라치게 놀라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과거사를 이야기하는 것을 퇴행이라고 못 박는다. 과거는 그만 덮어 두고 미래로 나아가자고 주장한다. 그러나 과거의 명백한 잘못이 가려지지 않고 인간의 인간에 대한 야만이 역사의 이름으로 단죄되지 않을 때 도대체 미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결국 ‘죽은 자만 억울한 것’이고 그래서 ‘지금 내 손의 권력과 내 앞의 밥그릇을 챙기는 일이 최선’이라는 논리만이 남게 될 때 미래는 훨씬 더 끔찍한 악몽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050504saram01.jpg

1975년 4월9일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 관련자 8명에게 대법원이 사형 확정판결을 내리자 가족들이 법원 앞길에 주저앉아 오열하고 있다.
 


  인혁당 사건을 비롯한 과거의 여러 사건들을 철저하게 규명하고 피해자들을 복권시키며 가해자들에게 정당한 역사적 평가를 받게 하는 것은 따라서 바로 우리의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그것은 역사가 결국 정당한 자의 몫이란 사실을 확인하는 일이며 그렇기에 한번 잡은 권력과 기득권 위에서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움직이는 자들이 결코 거기 그대로 있지만은 못할 것임을 알게 하는 일이다.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우리에게 미래란 없다.



김창남 위원은 현재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 재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