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통신

home > 인권연대세상읽기 >  발자국통신

‘발자국통신은’인권연대 운영위원들로 구성된 칼럼 공간입니다.

‘발자국통신’에는 강국진(서울신문 기자), 김희교(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염운옥(경희대 글로컬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오항녕(전주대 교수), 이찬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연구교수), 임아연(당진시대 기자), 장경욱(변호사), 정범구(전 주독일 대사), 최낙영(도서출판 밭 주간)님이 돌아가며 매주 한 차례씩 글을 씁니다.

한국대중음악상의 변방성 (김창남)

작성자
hrights
작성일
2018-01-17 16:50
조회
1782

김창남/ 인권연대 운영위원


 지난 1월 15일은 신영복 선생이 세상을 뜨신지 꼭 2년이 된 날이다. 하루 전인 1월 14일에 성공회대학교 교내 성당에서 2주기 추도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 유력한 정치인들부터 무명의 노동자들까지 많은 분들이 함께 했다. 그 모습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신영복 선생이 우리에게 남긴 가르침이 얼마나 깊고 너른 의미의 자장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선생은 생전에 다양한 지식을 섭렵했고 수많은 지혜들을 남겼지만 만년에 유독 강조한 메시지가 있다. 바로 ‘변방이 가진 창조성’에 관한 것이다. 인류 문명의 역사는 그 중심지가 끊임없이 변방으로 이동해 온 역사이다. 중심부가 쇠락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변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변방이 새로운 중심이 될 수 있는 이유는 그곳이 변화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변방은 지리적이거나 공간적인 개념이기보다는 의식의 변방성, 즉 변방 의식을 의미한다. 변방은 성찰의 공간이다. 문명이든 국가든 혹은 집단이든 개인이든 성찰하지 않으면 변화하지 않고 변화하지 않으면 그 생명은 오래가지 못한다. 그렇게 성찰하는 변방만이 새로운 문명을 창조할 수 있는 힘을 갖는다.


 신영복 선생이 말씀하신 변방의 창조성에 관해 생각하다보니 문득 내가 지금 하고 있는 한국대중음악상도 이와 유사한 의미를 찾아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대중음악상은 내가 15년째 선정위원장을 맡아 진행하고 있는 시상식이다. 한 해 동안 한국 대중음악 씬에 등장한 새 작품들 가운데 음악적으로 높은 수준의 성취를 달성한 작품과 뮤지션들을 골라 상을 준다. 상업적 성공이나 대중적 인지도는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오직 음악적 성취만이 시상의 기준이 된다. 그러다 보니 이 상의 수상작들은 대부분 이른바 주류 씬이 아니라 주로 비주류 혹은 인디 씬에서 나온다. 그렇다고 주류 씬의 음악이 상을 받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실제로 적지 않은 아이돌 그룹과 스타급 음악인들이 이 상을 받았다) 다양한 장르 부문을 배려하는 상의 특성 상 아무래도 비주류 음악인들이 상대적으로 상을 많이 받게 된다. 지금 우리 대중음악 문화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주류 음악은 대체로 일부의 장르와 양식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비주류 음악 씬에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생산되며 늘 신선한 창의적 역동성이 꿈틀거린다. 바로 변방의 창조성이다.


사진 출처 - 한국대중음악상 트위터


 문제는 이렇게 창조적인 변방의 음악들이 최소한의 물적 토대를 가지지 못한 채 생존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그들이 생존의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TV에 출연하고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것, 요컨대 중심으로 진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기회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허용될 뿐이다. 결국 중요한 건 비주류 음악이 최소한의 독자적 생존과 재생산이 가능한 물적 토대를 확보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음악을 좋아하는 대중이 변방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접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대중음악상은 바로 그런 접점의 역할을 자임해 왔다. 지금까지 그 역할을 얼마나 제대로 수행해 왔는지 정밀하게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한국 대중음악 씬의 창조성을 북돋우고 대중의 음악 환경을 다양화하는 데 나름의 기여를 해왔다고 생각한다.


 신영복 선생은 변방이 창조 공간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결정적인 전제가 있다고 말한다. 바로 중심에 대한 콤플렉스와 열등의식을 청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심에 대한 허망한 환상을 없애지 못한다면 변방은 그저 변방으로 남을 뿐이며 아류의 역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변방이 진정 창조적 공간이 되려면 중심부를 향한 환상을 버리고 스스로 자신의 논리와 이유로 설 수 있어야 한다. 인디 음악을 포함한 모든 비주류의 문화적 실천이 그럴 것이고 한국대중음악상 역시 다르지 않을 것이다.


김창남 위원은 현재 성공회대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